헌재 탄핵심판 5차 변론
설득에도 핵심질문 답변 거부
본인 형사재판 유불리 따진듯
국회측 尹사이 가림막 제안엔
"軍으로 명예롭게 증언" 거부
설득에도 핵심질문 답변 거부
본인 형사재판 유불리 따진듯
국회측 尹사이 가림막 제안엔
"軍으로 명예롭게 증언" 거부

이날 5차 변론기일은 제출 서면 확인·일부 증거 채택·증인신문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이 전 사령관은 국회 측이 신청한 증인인 만큼 국회 측 대리인단이 먼저 주신문에 나섰다.
이 전 사령관은 본격적인 신문에 앞서 "현재 형사재판에서 증거인부 절차가 진행되고 있고 조서 동의 여부도 아직 이뤄지지 않았는데 변호사와 상의도 못했다"며 "당시 상황에 대해 엄중하고 중요한 것은 알지만 말씀드리는 것이 제한된다는 점을 양해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후 이 전 사령관은 비상계엄 선포 당시 전후 사정과 윤 대통령의 지시 등 탄핵심판의 위헌 여부를 가를 핵심 쟁점과 관련된 질문에 모두 답변을 거부했다. 그는 "대통령으로부터 누군가를 체포하라는 지시를 받은 적 있느냐"는 윤 대통령 측 질문에 "없다. 더 이상 답변드리지 않겠다"고 답했다. 비상계엄 직후 상황에 대해서는 당시 무전기 3개로 동시에 지휘하는 상황이라 기억이 잘 안 난다고 답변했다.
이 전 사령관은 특히 '계엄이 해제됐어도 2~3번 선포하면 되니까 계속 진행하라는 대통령 지시가 있었느냐'는 질문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그는 "제가 답변드리지 못하는 가장 큰 원인이 바로 청구인 측이 질문한 그 내용 때문"이라며 "제가 기억하는 내용과 제3자가 하는 얘기가 달라 제 기억에 없는 내용이 엄청 많아서 답변을 못 드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회 측은 자유로운 진술을 위해 윤 대통령과의 사이에 가림막 설치를 제안했지만 이 전 사령관은 "군인으로서 명예를 갖고 말씀드리는 중이라 필요 없다"며 이를 거부했다. 대리인단은 공감도 시도했지만 오히려 이 전 사령관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국회 측 김진한 변호사는 "그 상황에 그 자리에 있었던 증인이 불행한 사람이라고 생각된다"고 말했다. 이 전 사령관이 불행하다는 것은 과하고 좋지 않은 표현이라고 지적하자 김 변호사는 "증인에게 처한 상황이 불행하다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박민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