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비오 불량국가 지적에 발끈
트럼프2기 이후 첫 공식 비난
트럼프2기 이후 첫 공식 비난

3일 북측은 조선중앙통신에 공개한 담화에서 "최근 미 국무장관 루비오라는 자가 언론 인터뷰에서 새 미 행정부의 대외정책에 대해 열거하던 와중에 우리 국가를 '불량배 국가'로 모독했다"고 지적했다. 루비오 장관이 지난달 30일 인터뷰에서 "우리는 중국 그리고 러시아를 마주하고 있고 이란, 북한과 같은 불량국가(rogue states)를 상대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던 점을 문제 삼은 것이다.
북측은 담화에서 "사실상 세계에서 가장 불량한 국가(미국)가 남(북한)에 대해 불량하다고 걸고드는 것이 얼마나 터무니없는 어불성설인가 하는 데 대해서는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루비오의 비상식적인 망언은 새로 취임한 미 행정부의 그릇된 대조선 시각을 가감 없이 보여줄 뿐"이라며 "결코 그가 바라는 것처럼 미국의 국익을 도모하는 데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우리는 (북한에) 늘 적대적이었고 앞으로도 적대적일 미국의 그 어떤 도발 행위도 절대로 묵과하지 않을 것"이라며 강경한 대응을 예고했다.
이날 북한 외무성이 루비오 장관을 비난한 것은 미·북대화 재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미국과의 기싸움을 이어가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북한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직후 전략순항미사일 시험 발사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핵물질 생산기지·핵무기 연구소 방문 사실을 잇달아 공개하며 핵 능력을 과시하고 있다. 이어 잠재적 대화 맞상대인 루비오 장관의 대북 인식을 비난하며 대북 적대시 정책 전환을 더욱 분명하게 요구하고 나섰다.
임을출 경남대 교수는 북측 담화를 두고 "김정은 정권이 트럼프 2기 행정부 주요 인물들의 일거수일투족에 많은 관심을 보이며 예민하게 반응하고 있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분석했다.
임 교수는 이번 담화가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메시지 성격도 갖고 있다고 해석했다. 대외정책을 총괄하는 루비오 장관 같은 인물이 적대적인 언행을 멈추지 않는다면 미·북 정상회담 역시 기대하지 말라는 경고일 수 있다는 이야기다.
[김성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