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5·18 흔적 담긴 전일빌딩245, 광주 랜드마크로…우수건축자산 1호 등록

송민섭 기자
입력 : 
2025-01-21 10:56:3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광주광역시는 전일빌딩245를 포함한 4개의 건물을 우수건축자산으로 등록하였으며, 이는 문화재 지정과는 달리 활용 가치를 중심으로 한 지원제도이다.

전일빌딩245는 1968년에 준공된 7층 건물로, 5·18민주화운동의 상징성을 지니고 있으며, 현재는 시민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우수건축자산으로 등록되면 광주광역시로부터 관리 기술 및 비용 지원과 건축법 규정 완화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동구 인문학당 등 4곳도
광주시가 전일빌딩245, 전남대학교 학군단본부, 서강사, 동구 인문학당을 우수건축자산으로 등록했다. 전일빌딩245. 광주광역시 제공.
광주시가 전일빌딩245, 전남대학교 학군단본부, 서강사, 동구 인문학당을 우수건축자산으로 등록했다. 전일빌딩245. 광주광역시 제공.

전일빌딩245가 광주 우수건축자산 제1호로 등록됐다.

광주광역시는 21일 전일빌딩245, 전남대학교 학군단본부, 서강사, 동구 인문학당을 우수건축자산으로 등록했다고 밝혔다.

‘우수건축자산’은 문화재 지정과는 달리 활용 가치에 중심을 둔 진흥 개념의 지원제도다. 소유주가 건축문화 진흥을 위해 신청하면 심의를 거쳐 시도지사가 등록한다.

광주 우수건축자산 제1호 전일빌딩245는 1968년 7층 건물로 준공돼 당시 전남일보가 사용하던 건물로,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헬기 기총소사의 흔적이 남아 있는 등 5·18민주화운동의 상징성을 갖고 있다.

2011년 광주시가 매입 후 리모델링을 하던 중 건물 내부에서 245개의 탄흔이 발견되면서 원래 이름인 전일빌딩에 탄흔 245개를 더해 전일빌딩245로 이름이 정해졌다. 현재는 도서관과 관광센터, 문화콘텐츠기업 등이 입주하며 시민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제2호 전남대학교 학군단본부는 독특한 형태와 재료로 건립돼 1950, 60년대 대학 교육시설의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제3호 서강사는 1960년대 사당 건축물로 광주지역의 한옥건축 기술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제4호 동구 인문학당은 동명동에 자리한 복합문화공간으로, 서양·일본·한국의 건축양식이 혼합돼 1950년대 광주의 건축기술과 다양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광주 우수건축자산으로 등록되면 관리에 필요한 기술이나 비용 일부를 ‘광주광역시 한옥 등 건축자산의 진흥 조례’에 따라 지원받을 수 있으며, 건축법 등 일부 규정(건폐율, 조경 면적, 공개공지, 주차장 확보 등)의 완화 적용 등을 받을 수 있다.

박금화 건축경관과장은 “우수건축자산 등록은 광주시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을 시작으로 추진해온 광주시 건축문화 보존정책의 성과 가운데 하나”라며 “이번 등록을 시작으로 지역 건축문화 진흥과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