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야당 독주에 더 뭉친 보수…與지지율 반년만에 오차범위밖 앞서

전형민 기자
입력 : 
2025-01-20 17:53:47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권 연장론이 48.6%, 정권 교체론이 46.2%로 팽팽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이는 야당의 독주에 기인한다고 분석하고 있다.

연령대별로는 70세 이상과 60대에서 연장론이 우세하며, 정당별 지지도 조사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을 처음으로 오차범위 밖에서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여론 변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으며, 민주당은 여론조사 왜곡 검증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할 예정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리얼미터 여론조사 결과
20대·60대 이상은 정권연장
4050세대 정권교체론 우세
무당층서 교체론 힘 실려
잇단 탄핵에 野 심판심리 커져
민주, 여론조사 검증委 구성
사진설명


정권 연장론 48.6% vs 교체론 46.2%.

한 달 전만 해도 정권 교체론이 연장론보다 두 배 가까이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호각세로 바뀐 데 대해 전문가들은 '야당의 독주'를 원인으로 지적했다. 다만 이 같은 여권 지지세가 계속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20일 리얼미터에 따르면 지난 16~17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4명에게 물은 결과 정권 연장과 정권 교체 의견은 각각 48.6%, 46.2%로 팽팽하게 맞서는 흐름을 보였다.

비상계엄 사태 이후 처음 조사가 이뤄진 지난해 12월 4주 차만 해도 '야권 정권 교체론'은 60.4%를 기록해 32.3%에 불과했던 '여당 정권 연장론'을 압도했다. 하지만 두 의견 간 격차는 매주 좁아졌고, 오차범위 내에서나마 연장론이 교체론을 앞선 것이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5.2%였다.

정권을 연장해야 한다고 답한 사람은 권역별로 대구·경북(TK·정권 연장 60.5% vs 정권 교체 34.2%)과 부산·울산·경남(PK·53.4% vs 43.8%)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반면 호남권(34.9% vs 58.3%)과 충청권(42.3% vs 52.8%)에서는 정권 교체론이 정권 연장론에 비해 여전히 우세했다. 서울(47.3% vs 46.0%)에서는 두 의견 간 차이가 크지 않았다.

연령대별로는 70세 이상(61.0% vs 32.2%), 60대(57.4% vs 34.2%), 20대(52.7% vs 43.9%)에서 정권 연장 의견이 우세했다. 반면 50대(37.3% vs 57.2%)와 40대(36.7% vs 59.9%)에서는 정권 교체론이 우세했다. 지지 정당별로 국민의힘 지지층 92.6%가 정권 연장론 의견을 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선 92.6%가 정권 교체론 의견을 내면서 극단적으로 갈렸다. 무당층에서는 정권 연장(37.7%)보다 정권 교체(44.2%) 의견이 더 많았다.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는 국민의힘이 지난해 7월 3주 차 이후 6개월 만에 오차범위 밖에서 민주당을 앞섰다. 국민의힘은 전주 대비 5.7%포인트 높아진 46.5%를 기록했고, 민주당은 3.2%포인트 낮아진 39.0%로 조사됐다. 국민의힘 지지율이 지난해 2월 5주 차(46.7%) 이후 처음으로 40% 중반대로 올라선 반면 민주당은 지난해 8월 2주 차(36.8%) 이후 약 5개월 만에 40%대 지지율 선이 무너졌다.

정치권 전문가들은 보수 과표집이 극대화됐다는 해석을 내놓았다. 여당 지지자들이 적극적으로 응답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분석이다.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실장은 "최근 몇 주간 이어지던 추세가 지속됐고 달라진 점은 정권 유지와 교체 중 유지 응답 비율이 올라간 것"이라며 "오차범위 내 크로스에 큰 의미를 둘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그는 보수 지지층이 적극적으로 응답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민주당에 대한 불안감과 반대 의사'를 꼽았다.

신율 명지대 교수도 "자동응답시스템(ARS) 방식이 가미된 여론조사에 대답하는 것은 주로 강성·진성 지지자들"이라며 "현재의 특수한 상황은 일반적인 민심을 ARS 조사로 파악하기엔 좀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종근 시사평론가는 "탄핵소추 이후 정국을 계속 불안하게 만든 민주당에 대한 심판 심리가 발현된 것"이라고 풀이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에 이어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았던 한덕수 국무총리까지 탄핵소추하면서 시민들 눈에 마치 점령군처럼 보이게 됐다는 해석이다.

다만 그는 '여권 상승·야권 하락'이라는 키워드의 지지율 추세는 이번 조사까지가 한계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말 새 벌어진 윤 대통령 구속영장 발부와 서울서부지법 폭동 사태 등이 반영되면 다시 여론 추세에 변화가 생길 것이라는 관측이다. 그러면서 "이번 조사를 추세선의 '정점'으로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는 무선(97%)·유선(3%) ARS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7.8%였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한편 민주당은 3선 위성곤 의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여론조사 검증 및 제도개선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특위를 통해 여론조사의 왜곡 혹은 조작이 의심되거나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에 의뢰하겠다는 계획이다. 특위는 오는 23일 국회에서 여론 조작에 대한 대응 및 제도 개선 등을 주제로 토론회를 연다.

[전형민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