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사상자 3천명 추정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 여야 간사인 이성권 국민의힘 의원과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정원이 비공개 간담회에서 이같이 보고했다고 전했다. 이성권 의원은 "국정원은 북한군 피해 규모가 사망 300여 명, 부상 2700여 명으로 사상자가 3000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전사한 북한군 장병이 갖고 있던 수첩 속에서 북한 당국이 생포되기 전 자결을 강요하는 내용이 발견됐다고 설명했다. 또 최근 생포 위기에 처한 북한군 장병이 "김정은 장군"을 외치며 수류탄을 꺼내 자폭하려다 사살된 사례도 있다고 소개했다.
국정원은 전날 국정원이 생포 사실을 공식 확인한 북한군 포로 2명이 '정찰총국' 소속이라고 밝혔다. 이 의원은 "포로가 한국으로 가겠다는 입장을 밝힌 적은 없다"고 전했다. 국정원은 해당 병사가 한국으로의 귀순 의사를 밝히면 헌법적 가치에 따라 우크라이나와 적극 협의하겠다는 입장이다.
국정원은 보고에서 엄격한 정보 통제에도 파병 관련 소식이 북한 내에서 암암리에 퍼지고 있다고 전했다. 국정원에 따르면 파병된 장병 가족들은 쿠르스크 전선에 투입된 이들이 '노예병' '대포밥'이 될지도 모른다는 자조와 걱정을 토로하고 있다고 한다.
박선원 의원은 국정원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한 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대화를 추진할 가능성을 제기했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도널드 트럼프 2기 미 행정부가 조속한 북한 비핵화가 어렵다고 판단하면 핵 동결·군축 등 '스몰딜'을 추구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한편 같은 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자국군이 생포한 북한군과 러시아에 억류된 우크라이나군에 대한 맞교환을 제안했다. 그러면서 생포된 북한군 신문 영상도 공개했다. 한국어 통역관이 "북한으로 돌아가고 싶어?"라고 묻자 머뭇거리다가 "우크라이나 사람들 다 좋은가요"라고 되묻고는 "여기서 살고 싶어요"라며 말끝을 흐렸다.
[김성훈 기자 / 박자경 기자 / 김덕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