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규 방통위장 대행도 사의
정진석 떠날땐 수석들도 동참
崔대행측 "사표 수리 안할 것"
내수 살릴 정책 시급한데
컨트롤타워 정부마저 내분
정진석 떠날땐 수석들도 동참
崔대행측 "사표 수리 안할 것"
내수 살릴 정책 시급한데
컨트롤타워 정부마저 내분

1일 대통령실은 "대통령 비서실과 정책실, 안보실의 실장, 외교안보특보 및 수석비서관 전원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거듭 사의를 표명했다"고 공지했다.
수석 이상 고위급 참모들은 비상계엄 다음 날인 지난달 4일 일괄 사의를 표명한 바 있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당시에도 한 차례 사의를 표명했다. 최 권한대행에게도 의례적 사의 표명을 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한덕수 권한대행 때와는 달리 언론에 직접 공지한 것은 전날 최 권한대행이 정계선·조한창 헌법재판관을 임명한 것에 대해 항의를 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날 최 권한대행과 정진석 실장은 사의 수용 여부를 두고도 설전을 벌였다. 여권에 따르면 최 권한대행이 오전 정 실장의 사의만 수용했다가 오후 사과와 함께 반려하겠다는 뜻을 밝혀왔다고 전했다. 반면 최 권한대행 측은 명시적으로 사의 수용을 한 적이 없다는 입장이다. 정부 관계자는 "지금은 민생과 국정 안정에 모두 힘을 모아 매진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대통령실 참모진)사표를 수리할 계획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정 실장과 수석비서관 등 고위급 참모들은 2일 내부 회의를 통해 입장을 정리할 방침이다. 정 실장이 사의가 수용됐다고 보고 사직할 경우 다른 수석급들도 이에 동참할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국무회의에서도 일부 국무위원이 헌법재판관 임명에 반대를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 권한대행이 모두발언을 마치고 회의가 비공개로 전환되자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여야와 어떤 사전 협의가 있었느냐"고 물었고 최 권한대행은 "혼자 고민 끝에 내린 결정"이라는 취지로 답했다고 한다. 김태규 방송통신위원장 직무대행은 "민주적 정당성이 약한 권한대행이 일방적으로 결정해선 안 된다"고 항의했다. 그러자 최 권한대행은 "나도 월권했다고 생각한다. 그럼 사직하겠다"고 하자, 김태규 직무대행 역시 사직하겠다는 의사를 현장에서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 권한대행이 국무회의실을 나가자 몇몇 국무위원이 권한대행 사무실로 따라가 간담회를 했고 독단적 결정에 대해 이완규 법제처장 등이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 권한대행은 간담회 이후 일부 국무위원과 다시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에서 눈물도 내비친 것으로 전해졌다.
[우제윤 기자 / 김대기 기자 / 류영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