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계엄·탄핵 국민께 사과”…‘권영세 비대위’ 공식 출범, 활동 계획은?

이상현 기자
입력 : 
2024-12-31 17:03:19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국민의힘은 31일 상임전국위원회를 통해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며 임이자, 최형두, 최보윤, 김용태 비대위원을 임명했다.

비대위는 제주항공 참사를 비롯한 정국 현안에 대응하며, 야당의 탄핵 공세와 갈등 해결에도 나설 예정이다.

그러나 비대위의 출범에도 불구하고 야당의 압박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31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제주항공 여객기사고 긴급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최보윤·임이자 비대위원, 권성동 원내대표, 권영세 비대위원장, 김상훈(정책위의장)·최형두·김용태 비대위원.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31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제주항공 여객기사고 긴급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최보윤·임이자 비대위원, 권성동 원내대표, 권영세 비대위원장, 김상훈(정책위의장)·최형두·김용태 비대위원.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31일 상임전국위원회를 통해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을 공식 완료했다. 12·3 비상계엄 사태와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으로 여당이 어수선한 가운데 비대위는 당내 수습과 제주항공 참사를 비롯한 정국 현안에 매진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상임전국위원회는 이날 회의를 개최하고 임이자·최형두·최보윤·김용태 비대위원 임명의 건을 의결했다. 투표는 자동응답시스템(ARS) 방식으로 진행됐다. 상임전국위원 67명 중 54명(투표율 80.60%)이 참여했고, 이 가운데 51명(찬성률 94.44%)이 찬성해 가결됐다.

이날 임명된 지명직 4명을 비롯해 당연직 비대위원인 비대위원장과 원내대표, 정책위의장을 포함해 총 7명으로 ‘권영세 비대위’가 꾸려졌다. “국민의 목소리에 더 귀 기울이고 다가가는 국민의힘을 만들겠다”는 게 이날 비대위의 입장이다.

권 위원장은 이날 우원식 국회의장 주재로 열린 여야 대표 회담에서 “정치의 가장 중심이 되는 국회는 국회 본연의 일을 해야 할 때”라면서 “취임사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여야정 협의체의 조속한 시작이 필요하다”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적극 협조를 당부했다.

비대위가 표면적으로는 협조를 청했으나, 야당의 ‘탄핵 공세’가 거센 만큼 여야 간 협력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더욱이 이날 오전에는 12·3 비상계엄 사태로 내란 혐의를 받는 윤 대통령의 체포영장까지 발부돼 야권이 공세 수위를 더 높일 것으로 보인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31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제주항공 여객기사고 긴급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31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제주항공 여객기사고 긴급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일각에서는 비대위가 공식 출범한 뒤 비상계엄에 대한 비대위 또는 당 차원의 대국민 사과가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기도 했으나, 가능성이 작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미 전날 권 위원장이 취임사에서 “비상계엄과 대통령 탄핵으로 불안과 걱정을 끼쳐드린 점, 국정을 책임지는 집권여당의 비대위원장으로서 국민 여러분께 깊이 사과드린다”고 밝혔다는 게 여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야당의 거센 공세, 또 여당에 불리하게 돌아가는 탄핵 정국도 비대위가 당면한 과제지만, 윤 대통령 탄핵 표결을 계기로 당내에서 심화한 친윤(親윤석열계)·친한(親한동훈계) 계파 간 갈등도 비대위가 풀어나가야 할 숙제다.

권 위원장 역시 이를 십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 탄핵에 찬성 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혔던 김재섭 의원이 조직부총장으로 비대위에 합류한 것이 그 방증이란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최형두·최보윤·김용태 의원도 계파색이 비교적 옅다는 평가를 받는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비대위가 특정 계파에 치우치지 않고 적절하게 구성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비대위 전원이 현역인 것과 관련, 원외 인사가 소외됐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여권 일각에서는 나오고 있다.

국민의힘 당헌·당규상 비대위 활동 기한은 6개월이고, 향후 전국위 의결로 1회 연장할 수 있다. 첫 활동 기한 내에서 윤 대통령 탄핵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최종 판단이 나올 전망이다. 탄핵이 최종 인용될 경우 조기 대선을 위한 선대위 체제 전환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