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커지는 韓대행 탄핵 변수”…국정협의체 첫 회의부터 불투명

전종헌 기자
입력 : 
2024-12-25 18:34:09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여야 대표들이 참여하는 국정안정협의체의 출범이 어려워졌다.

민주당은 한 권한대행의 헌법재판관 임명 여부와 관련해 탄핵소추안 발의를 고려하고 있어 협의체 가동에 차질이 우려된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탄핵 소추안 문제가 국정안정 협의체 출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사진 제공 = 연합뉴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사진 제공 = 연합뉴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우원식 국회의장,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참여하는 여·야·정 국정안정협의체의 정상적인 출범이 사실상 어려워졌다.

여야는 당초 12·3 비상계엄 사태 수습을 위한 협의체를 오는 26일 가동하기로 한 바 있다.

하지만 한 권한대행의 헌법재판관 3인 임명과 민주당의 한 권한대행 탄핵소추안 발의 여부가 맞물리면서 불투명한 상황이 됐다.

25일 박성준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MBC라디오에서 “국민의힘 측에 실무협의를 하자고 했지만, 준비가 안 됐다고 한다”며 “진척이 없기 때문에 26일 국정안정협의체의 첫발을 떼기는 상당히 어려울 것으로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김대식 국민의힘 원내수석대변인은 이날 KBS 라디오 전격시사 인터뷰에 출연해 “국민이 불안해하니 안정을 시키자고 여당도 동참한 것인데, 첫 시도도 안 해 보고 (야당이) 벌써 탄핵을 (추진하겠다고) 하니 협의체가 제대로 굴러갈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정치권에선 한 권한대행에 대한 탄핵소추안 문제가 협의체 출범에 난항을 초래했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민주당은 오는 26일 본회의에서 국회 추천 몫 헌법재판관 후보자 3명의 임명동의안을 통과시키고, 한 권한대행이 이들을 곧바로 임명하지 않을 경우 한 권한대행에 대한 탄핵안을 발의하겠다고 압박하는 상황이다.

민주당이 탄핵안을 발의할 경우 현실적으로 한 권한대행과 마주 앉아 국정안정을 논의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