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지난 3일 계엄령 선포 당시 선거관리위원회에 투입된 계엄군이 선관위 시스템 서버를 촬영하는 장면이 담긴 CCTV를 6일 공개했다. [사진 = 연합뉴스]](https://pimg.mk.co.kr/news/cms/202412/12/news-p.v1.20241212.d8ba4963c76c4e9bbac10e852d6aec07_P1.jpg)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12일 윤석열 대통령이 제기한 부정선거 의혹에 대해 “도저히 발생할 수 없는 일”이라고 반박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야당 간사인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선관위가 이날 오전 민주당 행안위원들과 가진 비공개 간담회에서 이렇게 설명했다고 전했다.
윤 의원은 “오늘 윤 대통령이 언급한 내용은 이미 모두 개선된 내용”이라며 “작년 24억원, 올해 5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보안 조치를 해소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서버가 인터넷과 연결돼 있지 않고 폐쇄망 단말기라서 북한·중국 또는 기타 국가에서 인터넷으로 해킹이 불가능하다”며 “이동식저장장치(USB)를 꽂아야 외부 접근이 가능한데 계엄군이 USB를 꽂은 흔적은 발견하지 못했다”고 부연했다.
그는 다만 “계엄군이 조직도를 탈취한 것 같다”면서 “계엄군이 선관위에 왔을 때 해킹 여부 관련 시간대에 선관위 로그 기록이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윤 의원은 “부정선거를 얘기하는 여러 집단에 대해 선관위는 기존에 고발조치 단행했지만, 선거 자유 방해죄가 없어서 어려움 겪고 있다고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3일 비상계엄 당시 계엄군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투입한 데 대해 선관위의 전산시스템 점검을 위해서였다고 밝혔다. 특히 전산시스템이 취약해 데이터 조작이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주장해 부정선거론에 또다시 불을 지폈다.
12일 윤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대국민담화를 통해 “제가 비상계엄이라는 엄중한 결단을 내리기까지 그동안 직접 차마 밝히지 못했던 더 심각한 일들이 많이 있다”며 “작년 하반기 선거관리위원회를 비롯한 헌법기관들과 정부 기관에 대해 북한의 해킹 공격이 있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시스템 장비 일부분만 점검했지만 상황은 심각했다”며 “국정원 직원이 해커로서 해킹을 시도하자 얼마든지 데이터 조작이 가능하였고 방화벽도 사실상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특히 “비밀번호도 아주 단순하여 ‘12345’ 같은 식이었다”며 “시스템 보안 관리회사도 아주 작은 규모의 전문성이 매우 부족한 회사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