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김정은, 또 자폭 드론 시험현장에…BMW車 정밀타격 능력도 과시

김성훈 기자
입력 : 
2024-11-15 10:58:21
수정 : 
2024-11-15 13:46:59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자폭형 공격무인기(자폭 드론) 성능시험 현장을 방문해 대량생산 체계를 조속히 갖추라고 지시했다.

김 위원장이 자폭 드론 관련 시험을 현지지도한 것은 지난 8월 이후 석달 만이다.

15일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전날 '무인항공기기술연합체' 산하 연구소와 기업소들에서 생산한 각종 자폭 드론의 성능시험을 현지지도했다고 보도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金, 드론전력 반영전술 개발의지 밝혀
韓도 자폭드론 도입 등 나서 남북경쟁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4일 무인항공기술연합체 산하 연구소와 기업소들에서 생산한 각종 자폭 공격형무인기들의 성능시험을 현지에서 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5일 보도했다. [조산중앙통신·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4일 무인항공기술연합체 산하 연구소와 기업소들에서 생산한 각종 자폭 공격형무인기들의 성능시험을 현지에서 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5일 보도했다. [조산중앙통신·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자폭형 공격무인기(자폭 드론) 성능시험 현장을 방문해 대량생산 체계를 조속히 갖추라고 지시했다. 김 위원장이 자폭 드론 관련 시험을 현지지도한 것은 지난 8월 이후 석달 만이다.

15일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전날 ‘무인항공기기술연합체’ 산하 연구소와 기업소들에서 생산한 각종 자폭 드론의 성능시험을 현지지도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시험에 투입된 드론들이 다양하게 설정된 타격권 거리의 전술항로를 따라 비행해 표적을 정밀 타격했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하루빨리 계열생산체계를 구축하고 본격적인 대량생산에 들어가라”고 강조했다.

통신에 따르면 이날 김 위원장은 세계적으로 드론을 주요 전력으로 이용하기 위한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드론은) 생산비용이 적고 생산공정이 단순한 것으로 하여 새로운 영역에서 타격력의 한 구성부분으로 활용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각이한(각기 다른) 무인기들을 생산도입할 수 있는 가능성과 잠재력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면서 “현대전의 요구에 맞게 전법상 측면에서도 새롭고 유망한 전술조법들을 결합 적용할 전망성을 찾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의 자폭 드론이 BMW 차량으로 보이는 목표물을 정밀타격하기 위해 근접 비행하고 있는 모습.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의 자폭 드론이 BMW 차량으로 보이는 목표물을 정밀타격하기 위해 근접 비행하고 있는 모습.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은 이날 보도 사진을 통해 자폭 드론이 BMW 자동차를 타격해 폭발시키는 모습도 공개했다. 드론을 요인 암살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암시를 던진 셈이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이같은 김 위원장의 드론 중시 방침에 대남 압박과 수출 가능성 등이 두루 담겼다고 해석했다. 양 교수는 “북한의 드론 개발은 과거 ‘평양 상공 무인기 사건’이 남측 군부 소행이라고 주장한 이후 관련 분야에서의 대남 열세를 만회하기 위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그는 북한이 중동 등 분쟁지역에 무인기를 수출하는 방안을 염두에 뒀을 수도 있다고 관측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드론 운용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가운데 북한도 관련 전력 증강 방침을 명확히 한 것이다. 최근 한국군도 드론작전사령부 창설을 계기로 전력 확충을 추진 중이라 남북 간 ‘드론 경쟁’이 본격화하는 모양새다.

한국군이 도입계약을 맺은 폴란드 WB일렉트로닉스의 자폭 드론 ‘워메이트’. [매경DB]
한국군이 도입계약을 맺은 폴란드 WB일렉트로닉스의 자폭 드론 ‘워메이트’. [매경DB]

이와 관련, 군 당국은 지난 달 폴란드산 소형 자폭 드론 ‘워메이트’ 도입 계약을 체결하고 약 200여 대를 올해 안에 들여오기로 했다. 군 당국은 지난 2022년 말 북한 무인기의 영공 침범 사태 이후 스텔스·소형 드론 등을 대량 생산하기로 하고 관련 개발 작업도 진행하고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