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지자체 생활임금 최대 5% 인상…공공부문 근로자 삶의 질 높아진다

지홍구 기자
입력 : 
2024-10-15 11:02:0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공공부문 저임금 근로자 삶의 질 개선을 위해 도입한 생활임금이 내년에 최대 5.0% 인상된다.

광주시의 경우 내년 인상률은 지자체 중 최저지만 올해 기준 가장 많은 생활임금(시간당 1만2760원)을 지급해 내년에도 1위 유지가 유력하다.

최근 내년도 생활임금 인상안을 결정한 대구시는 오는 17일 고시를 통해 인상 금액을 공개한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15개 시도, 내년도 공무직 등에 지급하는 생활임금 확정
부산시 5% 올려 최고…광주시는 1.3%로 최저
부산시 생활임금 <부산시보>
부산시 생활임금 <부산시보>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공공부문 저임금 근로자 삶의 질 개선을 위해 도입한 생활임금이 내년에 최대 5.0% 인상된다.

생활임금은 지자체와 지자체 산하 공사·공단, 출자·출연기관, 지자체 사무위탁 기관 등에 근무하는 무기 계약직(공무직), 기간제 근로자, 일시 채용 근로자들에게 적용하는 시급으로 2013년 처음 도입된 바 있다.

15일 전국 시도에 따르면 현재까지 울산시, 경상남도를 제외한 15개 시도가 내년도 생활임금을 확정했다.

부산시는 생활임금을 시간당 올해 1만1350원에서 내년 1만1917원으로 5.0% 올리며 지자체 중 가장 높은 인상폭을 확정지었다.

부산시 관계자는 “노동계에서 워낙 높은 19.8% 인상안을 제시했고, 일부 심의위원이 중재하면서 5% 인상이 결정됐다”고 밝혔다. 부산시 측은 애초 1.7~3.9% 인상안을 요구했었다.

서울시(3%)와 대전시(3.8%), 세종시(3.32%), 충북도(3.2%)는 3%대, 인천시(2%)와 경기도(2.2%), 강원도(2.3%), 충남도(2%), 경북도(2.1%), 제주도(2.51%)는 2%대 인상을 확정했다.

광주시(1.3%)와 전북도(1.7%), 전남도(1.7%) 인상률은 1%대로 가장 낮았다. 광주시의 경우 내년 인상률은 지자체 중 최저지만 올해 기준 가장 많은 생활임금(시간당 1만2760원)을 지급해 내년에도 1위 유지가 유력하다.

최근 내년도 생활임금 인상안을 결정한 대구시는 오는 17일 고시를 통해 인상 금액을 공개한다. 울산시와 경남도는 11월께 결정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