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충청권 메가시티 박차 … 행정통합은 난항

조한필 기자
입력 : 
2024-08-25 17:13:11
수정 : 
2024-08-25 19:28:4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 청사 위치 논란으로 대구·경북 행정 통합에 제동이 걸리고, 부산·울산·경남(부울경) 행정 통합도 울산의 반대로 난관에 부딪히면서 연내 지방정부연합 출범을 준비 중인 충청권의 통합 추진 여부에도 관심이 커지고 있다.

실제 4개 시도는 지난 5월 행정안전부의 조건부 승인에 따라 '충청지방정부연합 규약'을 고시하고 특별지방자치단체 출범 준비에 들어갔다.

25일 충청권특별지방자치단체합동추진단에 따르면 오는 11월 충청권을 아우르는 초광역 교통망 구축과 관광·첨단 바이오 육성 등 21개 연합 사무를 추진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된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지방정부연합 연내 출격
세종 '행정수도 완성' 우선
충북도 "통합은 시기상조"
최근 청사 위치 논란으로 대구·경북 행정 통합에 제동이 걸리고, 부산·울산·경남(부울경) 행정 통합도 울산의 반대로 난관에 부딪히면서 연내 지방정부연합 출범을 준비 중인 충청권의 통합 추진 여부에도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충청권 4개 시도는 통합에 시각차를 드러내고 있어 자칫 동상이몽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4개 시도가 '메가시티'를 만들어 광역생활경제권을 구축하는 '충청지방정부연합'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지만, 행정 통합을 놓고 각 지방자치단체가 저마다 다른 구상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전·충남의 선(先)통합 방안 속에 세종과 충북은 논의에서 제외되거나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실제 4개 시도는 지난 5월 행정안전부의 조건부 승인에 따라 '충청지방정부연합 규약'을 고시하고 특별지방자치단체 출범 준비에 들어갔다.

25일 충청권특별지방자치단체합동추진단에 따르면 오는 11월 충청권을 아우르는 초광역 교통망 구축과 관광·첨단 바이오 육성 등 21개 연합 사무를 추진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된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광역 연합에서 더 나아가 행정 통합론까지 원하고 있지만 세종시는 행정수도 완성을 이유로 반대를, 충북도는 아직까진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각각 고수하고 있어 지자체마다 셈법이 다른 상황이다. 여기에 대전·금산 통합 문제가 시작되면서 충남도가 더 큰 통합을 전제로 반발해 갈등의 여지를 남겨뒀다.

[조한필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