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중진들 2인 지도체제 반대
25일 전당대회 앞당길 수도
25일 전당대회 앞당길 수도
9일 황 위원장은 매일경제와 통화에서 "2인 지도 체제란 표현은 조금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고, 구태여 말을 한다면 승계형 단일 지도 체제 정도가 맞지 않나 싶다"며 "(지도 체제 변경은) 다음 기회로 논의를 넘겨야 한다는 말도 많이 있다"고 말했다.
황 위원장은 "비대위원장으로서 자꾸 제 의견을 얘기하는 것보다 당헌·당규 특위에서 의견을 잘 모아 나갈 것"이라며 "그 결론을 보고 난 후에 비대위원들과 협의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황 위원장이 띄운 2인 지도 체제는 전당대회에서 1위를 차지한 사람이 당대표, 2위는 수석최고위원을 맡도록 하는 방안이다. 당대표가 궐위될 경우 수석최고위원이 당대표를 물려받게 하자는 게 핵심이다.
대표가 정치적 이유로 물러날 때마다 수시로 비대위 체제를 가동했던 병폐를 막아보자는 아이디어지만 이를 두고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이 대표에 당선될 때를 대비해 미리 권력을 분산시키려는 의도라는 해석이 제기됐다. 이에 대해 황 위원장은 '절충형' 역시 당대표에게 여전히 권한이 집중되는 단일 지도 체제란 점을 강조하면서 당 리더십의 안정성을 확보하자는 취지라고 해명했다.
특위는 이번주에도 지도 체제와 경선룰에 대한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당내 반발이 심해지면서 2인 지도 체제 도입은 현실적으로 어려워진 것으로 보인다. 나경원·윤상현 의원과 유승민 전 의원 등이 모두 2인 지도 체제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경선과 관련해서는 당원 투표 70%·국민 여론조사 30% 안과 당원 80%·국민 20% 안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특위 위원들도 현행 당원 100% 룰은 개정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위는 오는 12일까지 당헌·당규 개정안에 대한 논의를 마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논의가 마무리되면 다음달 25일로 잠정 결정된 전당대회 날짜도 앞당겨질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 황 위원장은 "여러 가지 주변 사정이 있어서 7월 25일보다 전당대회 날짜를 더 당겨야 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신유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