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복권이 관건”…‘친노·친문 적자’ 김경수에 관심 쏠리는 이유는

김혜진 기자
입력 : 
2024-05-25 14:05:40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 추도식 참석을 위해 일시 귀국한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를 향한 관심이 뜨겁다.

일각에서는 김 전 지사의 복권과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의 연관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정무수석을 지낸 최재성 전 의원은 24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이 대표하고 묶여 있는 문제일 수도 있다"며 "이 대표가 사법리스크를 넘어서면 김 전 지사가 복권될 가능성이 커지고, 이 대표가 1심에서 유죄가 나오면 김 전 지사 복권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예측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일시 귀국 김경수, 文 예방 등
출국 전 친노·친문 인사 만나

金 “올해 연말 완전히 귀국”
곳곳서 ‘역할’ 주문하지만
‘피선거권 제한’ 걸림돌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지난 23일 오후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서 열린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15주기 추도식에서 노 전 대통령의 묘역을 참배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지난 23일 오후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서 열린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15주기 추도식에서 노 전 대통령의 묘역을 참배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노무현 전 대통령 추도식 참석을 위해 일시 귀국한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를 향한 관심이 뜨겁다. 더불어민주당이 총선 이후 견고해진 ‘이재명 대표 일극 체제’인 상황에서 김 전 지사가 이 대표에게 맞설 수 있는 인물로 거론되면서다. 다만 연말 귀국 계획을 밝힌 김 전 지사가 ‘비명(비이재명)계’의 구심점이 되는 데에는 ‘피선거권 제한’이 걸림돌이다.

25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 전 지사는 지난 19일 귀국해 노 전 대통령 추도식 참석 외에도 문재인 전 대통령 등 여러 친노(친노무현)·친문(친문재인) 인사들을 만나고 있다. 지난 22일에는 문 전 대통령을 예방하고 “너무 오래 나가 있으면 안 될 것 같다”며 “좀 더 머물며 공부한 후 연말에 완전히 귀국할 계획”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노 전 대통령의 ‘오른팔’로 불린 이광재 전 국회사무총장은 권순표의 뉴스하이킥에서 “(최근 김 전 지사 귀국 후) 만났고, 또 앞으로도 가기 전에 만날 예정”이라며 “유럽에서는 무슨 일을 배웠는가, 이런 얘기하고, 나라 걱정 이런 것 했다”고 말했다.

이 사무총장은 “(김 전 지사가) 이번에 유럽갔을 때 ‘어떻게 유럽은 복지국가를 만들었을까’, ‘어떻게 여야가 타협하는 정치문화를 만들었을까’ 이런 공부했던 이야기를 많이 하더라”라며 “앞으로 나아가는 대한민국, 분열된 나라를 하나로 통합하는 이런 데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것 같다”고 전했다.

노 전 대통령의 마지막 비서관이었던 김 전 지사는 문 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꼽힌다. 2018년 6월 지방선거에서 경남지사에 당선되며 차기 대권주자로 떠올랐으나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으로 징역 2년 실형을 선고받았다. 김 전 지사는 복역하다가 만기 출소를 6개월 앞둔 2022년 12월 특별사면됐다. 다만 복권은 되지 않아 2028년 5월까지 피선거권이 제한된다.

김 전 지사는 “열심히 공부하는 게 제일 중요한 역할”이라며 사실상 ‘구심점 역할론’에 선을 그었지만 야권에서는 김 전 지사에게 기대하는 시선을 보내고 있다. 한 친문계 관계자는 통화에서 “문 전 대통령이 이재명 대표와 조국 대표를 부르는 자리에 김 전 지사도 불렀다. 노 전 대통령 측근이지만 힘을 실어주는 것도 아니겠나”라고 해석했다.

다른 친문계 관계자는 “꼭 비명계 구심점이 아니라, 이 대표가 아직 사법리스크가 걸려있는 만큼 ‘또 다른 안, 대안이 될 수 있는 사람이 있으면 좋지 않나’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 있다”며 “김 전 지사가 복권만 된다면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김 전 지사는 2028년까지 피선거권이 제한돼 있다는 점이 정치권 복귀의 가장 큰 걸림돌이다. 한 민주당 의원은 “복권이 안된 상태로는 김 전 지사가 어떤 역할을 하기에는 어렵다”며 “다시 정치권에 복귀하기 위해서는 복권이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민주당에서는 김 전 지사의 복권을 검토하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최근 민주당 친문계 의원들은 “시간이 많이 지났기 때문에 윤석열 대통령이 복권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된다”고 공개적으로 요구했다.

일각에서는 김 전 지사의 복권과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의 연관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정무수석을 지낸 최재성 전 의원은 24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이 대표하고 묶여 있는 문제일 수도 있다”며 “이 대표가 사법리스크를 넘어서면 김 전 지사가 복권될 가능성이 커지고, 이 대표가 1심에서 유죄가 나오면 김 전 지사 복권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예측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