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진의원들에 견제 발언 해석
의장경선 후폭풍, 지지층 달래
지방선거 당원 영향 확대 약속
친문계 적자 김경수 귀국
"현실정치 언급은 부적절"
의장경선 후폭풍, 지지층 달래
지방선거 당원 영향 확대 약속
친문계 적자 김경수 귀국
"현실정치 언급은 부적절"

이 대표는 이날 대전에서 열린 충청권 당원 간담회에서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겠나. 서로 의견이 다를 경우엔 치열하게 논쟁하고 책임을 묻고 서로 비판할 수 있다"면서 "그러나 상대의 의견을 '틀린 것'이라고 단정하고 외면하면 그대로 끝"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아직도 혹시 제재를 하기 위해, 혼내주기 위해 탈당해야지 생각하는 분이 계시면 당비를 끊으시라"며 "탈당하면 다시 들어오기 너무 힘들다"고 만류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당원 중심의 대중정당으로 나아가고 있고, 또 그래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당원도 두 배로 늘리고, 당원의 권한도 두 배로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 대표는 "지금은 많이 후퇴해 세계적 망신거리가 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2년 전까지 모범적인 민주주의 국가로 전 세계의 인정을 받았다"며 "앞으로 지방선거, 다음 대선 등을 거치며 이 나라는 국민이 진정한 주인으로 대접받는 나라로 바뀔 것이다. 민주당과 당원 동지들이 변화의 첫 꼭짓점에 서 있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대표는 전날 광주에서 열린 호남 당원 간담회에서 "당원 중심의 대중정당, 의원 중심의 원내 정당은 언제나 부딪힌다"며 "아무래도 첫길을 가다 보니까 이슬에 많이 젖고 풀잎에 다칠 수도 있다.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당원들이 개척하고 있으니 자부심을 가져 달라"고 말했다.
특히 2026년 지방선거 공천에도 당원의 영향력을 확대하겠다고 밝혀 눈길을 끌었다. 그는 "기본적인 생각은 앞으로 당을 더 당원 중심 정당으로 바꿔 가자는 것"이라며 "시도당위원장 선거에서 권리당원 표 비중을 높이는 것을 연구 중"이라고 말했다. 현재 시도당위원장 선거에서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투표 비중은 50대50이다.
이 대표의 이 같은 발언은 중진들을 향한 '구두 경고'로도 풀이된다. 앞서 민주당 중진들은 이른바 '명심(明心) 논란' 속에 우 의원에게 표를 몰아준 바 있다.
일각에선 우 의원의 국회의장 당선이 이 대표 연임론에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놨다. 이 대표의 권력도 언제든지 당내에서 견제받을 수 있다는 점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물론 아직까지는 뚜렷한 경쟁자가 없는 상태라는 점에서 '찻잔 속 태풍'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이런 가운데 친문재인계 적자로 불리는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이날 노무현 전 대통령 추도식 참석을 위해 귀국했다. '드루킹 댓글 조작'으로 징역형을 선고받은 그는 2022년 말 사면됐지만 복권은 되지 않아 2028년까지 피선거권이 제한돼 있다. 김 전 지사는 이날 오후 인천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지금 상황은 제가 무슨 말씀을 드리기보다 더 많은 것을 보고 듣고 배워야 할 때"라며 "현실 정치를 일일이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몸을 낮췄다.
최근 민주당의 국회의장 경선에 우려를 표한 김부겸 전 국무총리의 행보도 주목된다. 김 전 총리는 지난 16일 서울대 강연에서 대리민주주의에 대한 강성 당원들의 위협에 우려를 표했다. 25만원 민생지원금에 관해서도 선별 지원 필요성을 거론했다.
오는 23일 열리는 노무현 전 대통령 추도식에는 영국에서 유학 중이던 김 전 지사를 비롯해 임종석 전 문재인 정부 대통령 비서실장, 김 전 총리, 박용진 의원 등 비명계 차기 대권·당권 주자가 한자리에 모일 전망이다.
[위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