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IT·과학

“형, 우리한테 왜 이러는거야”...678조원 증발한 테슬라, 역사상 세번째 폭락

원호섭 기자
입력 : 
2025-04-01 09:20:44
수정 : 
2025-04-01 09:28:36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테슬라가 2022년 이후 최악의 분기를 기록하며 1분기 동안 주가가 36% 하락했다.

주가 하락의 원인으로는 머스크 CEO의 정치적 행보와 글로벌 시위, 자동차 관세 강화 등이 있으며, 이로 인해 테슬라의 공급망에도 악영향이 미치고 있다.

지난 2024년 1분기 주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테슬라는 연말까지 반등해 연간 63% 상승을 기록한 바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올해 1분기에만 36% 폭락
시가총액 4600억달러 증발
테슬라, 15년 상장 역사상 세 번째로 큰 폭락 [이미지=챗GPT]
테슬라, 15년 상장 역사상 세 번째로 큰 폭락 [이미지=챗GPT]

전기차 제조업체 테슬라가 2022년 이후 최악의 분기를 기록하며 1분기 동안 주가가 무려 36% 하락했다. 이는 테슬라가 15년 전 상장한 이후 세 번째로 큰 낙폭이다. 테슬라의 주가가 더 큰 폭으로 하락한 적은 2022년 4분기로 당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트위터(현 X) 인수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테슬라 주식을 220억 달러어치 매각했다.

외신 등을 종합하면 이번 주가 하락은 단순한 실적 부진 이상의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머스크 CEO는 현재 트럼프 행정부 2기에서 ‘정부 효율성부(DOGE)’ 책임자로 활동 중이다. 이 부처는 연방정부 지출 및 규제 축소를 목표로 하고 있다. CNBC에 따르면 머스크는 지난 3월 말까지 1400억 달러의 정부 지출을 줄였다고 주장했다.

머스크는 오는 6월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서 자율주행 로보택시 서비스를 시작하겠다고 공언했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기술 및 일정상의 회의적 시각을 내비치고 있다. 머스크의 정치적 행보로 테슬라 매장과 차량을 겨냥한 글로벌 시위, 불매운동 등이 이어지고 있는 것도 악재다. 여기에 트럼프 행정부의 자동차 관세 강화는 멕시코 및 중국 등 테슬라의 주요 공급망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어 추가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테슬라 주가는 2024년 1분기에도 29% 하락했지만 연말까지 반등해 연간 63% 상승을 기록한 바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