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랩스 AI모델 '더스터'
사진 1장으로 2초에 3D생성
사진 1장으로 2초에 3D생성

구글과 엔비디아, 메타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네이버랩스의 공간 인공지능(AI) 모델을 바탕으로 잇달아 후속 연구에 나서 관심을 모은다.
17일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오는 6월 개최 예정인 글로벌 컴퓨터 비전 학술대회 'CVPR'에서 메타리서치가 네이버랩스의 공간 기술 '더스터(DUSt3R)'를 기반으로 새로운 공간 AI 모델 '패스터(Fast3R)'를 선보인다. 메타는 메타리서치 외에도 메타리얼리티랩스에서 여러 각도의 수많은 사진을 처리해 3D 모델을 생성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네이버의 미래 기술 연구개발을 담당하는 자회사 네이버랩스가 지난해 오픈소스로 공개한 더스터는 한두 장의 사진만으로 2~3초 내에 3D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기술로 고가의 장비 없이도 사진을 인간이 거리감을 인식하는 수준의 실제 공간으로 재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지난해 게임 '포켓몬고' 개발사인 미국 증강현실(AR) 기업 나이앤틱이 주최한 공간 정밀화 챌린지에서 1위를 차지한 바 있고, 세계 3대 컴퓨터 비전 학회로 꼽히는 CVPR 2024에도 소개됐다. 오픈소스 공개 1년 만에 논문 인용 건수 200건을 돌파한 것으로 알려졌다.
메타뿐 아니라 구글과 엔비디아도 더스터를 기반으로 공간지능을 연구하고 있다. 구글 딥마인드는 움직이는 물체가 있는 동영상을 활용해 3D 모델을 만드는 '몬스터(MonST3R)'를 지난해 공개한 바 있다. 엔비디아리서치와 엔비디아도 이미지를 활용해 3D 모델 생성 과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연구에 더스터를 활용하고 있으며, 각각 지난해 인스턴트스플랫(InstantSplat)과 라이터-SfM(Light3R-SfM) 모델을 발표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더스터는 공간 재구성뿐 아니라 기하학 정보 추출까지 가능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다"며 "더스터를 로봇에 적용하면 로봇이 복잡한 길을 이동할 때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인식하는 능력이 크게 향상된다"고 설명했다. 3차원 정보를 제공하는 부동산 서비스나 인테리어 조감도 제작에 활용될 수 있으며, 사진만 남은 과거의 유적지나 건물을 3차원으로 재현해 몰입형 콘텐츠 창작이나 연구에도 유용하게 쓰인다.
네이버랩스가 2017년부터 디지털트윈, 증강현실 등 국내외에서 출원한 공간 AI 분야 특허는 지난해 500개를 돌파했다.
[안선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