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IT·과학

허찔린 美, 딥시크에 전방위 공세

이덕주 기자
입력 : 
2025-01-29 18:30:4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미국에서 낮은 비용과 높은 성능으로 큰 주목을 받자, 미국 정부와 기업들이 이에 대한 견제를 시작하고 있다.

백악관은 딥시크가 미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중이며, 오픈AI는 딥시크가 자사의 지적재산권을 침해했는지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한편, 중국은 딥시크의 성과를 대중국 제재의 실패로 해석하며 자국의 AI 발전을 자랑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中AI 집중 견제나선 백악관
"딥시크 국가 안보영향 조사"
美해군도 사용 금지령 내려
오픈AI "챗GPT로 무단학습"
기술활용 증거 토대로 조사
◆ 中 AI 인재 굴기 ◆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낮은 비용과 뛰어난 성능으로 미국을 깜짝 놀라게 하자 미국 정부와 기업이 본격적인 견제에 나서고 있다. 백악관이 딥시크가 미국 안보에 미치는 영향 파악에 나섰고 오픈AI는 딥시크가 자사 지적재산권(IP)을 침해하고 이를 AI학습에 사용했는지 조사에 착수했다.

28일(현지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미 백악관 캐롤라인 리빗 미 백악관 대변인은 기자들을 대상으로 "중국 딥시크의 국가 안보 영향에 대해서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리빗 대변인은 이 문제에 대해서 NSC(국가안보회의)와 논의했다고도 설명했다.

미국 정부는 딥시크의 정부 내 사용에도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CNBC에 따르면 미 해군은 지난 24일 이메일을 통해 함정에 탑승하는 승무원들에게 딥시크의 사용을 금지했다. 기업들도 행동에 나섰다. 파이낸셜타임스(FT)와 블룸버그에 따르면 오픈AI는 딥시크가 챗GPT를 이용해 자신들의 모델을 학습했다는 증거를 가지고 있고 이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에 나섰다. AI가 만들어낸 데이터로 AI를 학습시키는 것은 업계에서 드문 일이 아니다. 하지만 오픈AI는 고객이 챗GPT를 사용해서 AI를 학습시키는 것을 금지시키고 있다. 데이비드 삭스 미 백악관 AI 및 크립토 차르는 이날 폭스뉴스에 "딥시크가 오픈AI의 기술을 가져다 쓴 확실한 증거"가 있다며 딥시크가 오픈AI의 지적재산권을 훔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중국 관영 언론들은 딥시크 성과를 거론하며 자화자찬 하고 있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지난 28일 기사를 통해 딥시크의 성공에 대해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국 제재가 실패했다는 방증"이라며 "(이러한 제재가) 중국이 자율적으로 인공지능(AI)을 발전시키게 했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27일 미국 주식시장에서 17% 폭락했던 엔비디아는 하루만에 8.93% 급반등했다. 전일 매도가 과도했다는 인식과 함께 가성비 AI 모델이 등장해도 그래픽처리장치에 대한 수요는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었기 때문이다. 다른 테크 기업들 주가도 급등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2.91% 메타가 2.19% 올랐다.

[실리콘밸리 이덕주 특파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