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IT·과학

'비만약 기술 특허' 분쟁 … 특허청, 펩트론 손 들어줬다

양연호 기자
입력 : 
2025-01-16 17:32:02
수정 : 
2025-01-16 19:00:3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투지바이오가 가진 장기 지속형 비만 치료제 관련 국내 특허가 최근 소멸되며, 이는 펩트론과의 특허 분쟁에서 펩트론의 사실상 승리를 의미한다.

특허청은 지투지바이오의 특허 '제2375262호'가 과도한 범위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여 취소 판결을 내렸고, 지투지바이오는 이의신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번 결정으로 인해 펩트론의 특허 무효심판은 기각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법적 분쟁이 종결될 수 있다는 전망이 존재한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위고비 주성분 제조 관련
지투지바이오 특허 소멸"
장기 지속형 비만 치료제를 만들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지투지바이오의 국내 특허가 소멸됐다. 당뇨·비만 치료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펩트론과 지투지바이오 간 특허 분쟁이 사실상 펩트론 승리로 끝난 것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특허청은 지투지바이오가 2021년 2월 출원한 특허 '제2375262호'를 최근 소멸시켰다. 이 특허는 'GLP-1 유사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서방형 미립구를 포함한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국내에서 세마글루타이드 장기 지속형 제제를 만들 수 있는 방법과 관련된 광범위한 특허다. 지난해 8월 특허청 특허심판원은 지투지바이오의 해당 특허 등록을 취소하는 판결을 내린 바 있다. 해당 특허의 제한 범위가 과도하다는 판단이었다. 이 특허를 취소한 신청인은 '자연인'인 김옥자 씨로 명기돼 있다.

이번에 특허가 소멸 처리된 건 지투지바이오가 항소한 데 따른 결과다. 지투지바이오는 특허청의 특허 취소 판결에 대해 곧바로 이의신청을 제기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 특허 핵심은 서방형 미립구(마이크로스피어)다. 펩트론과 지투지바이오 모두 미립구를 활용해 약 효과를 늘려주는 약효 지속 플랫폼을 개발했다. 미립구는 초소형 원형 형태로 이뤄진 아미노산 중합체다. 이 특허 기술을 기반으로 펩트론은 장기 지속형 플랫폼 '스마트데포'를 개발했다. 지난해 10월 미국 일라이릴리는 펩트론과 스마트데포 기술을 릴리의 펩타이드 약물에 적용하는 '플랫폼 기술평가 계약'을 체결한 상황이다.

지투지바이오는 펩트론에서 일하던 이희용 대표가 2017년 독립해 만든 회사로, 펩타이드와 저분자 화합물을 지속형 주사제로 바꿀 수 있는 '이노램프' 플랫폼 기술이 핵심이다.

앞서 펩트론은 2023년 11월 지투지바이오를 상대로 특허 무효심판 청구를 제기한 바 있다. 이번 소멸 결정으로 펩트론의 무효심판은 자연스럽게 기각될 전망이다. 펩트론 입장에서는 특허 무효심판 소송에서 승소하더라도 지투지바이오의 항소 가능성이 남아 있어 법적 분쟁이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다.

한 변리사는 "분쟁의 근본 원인이 완전 제거된 것으로 펩트론에 있어 소송 승소보다 더 좋은 결과"라고 설명했다.

[양연호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