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IT·과학

생산능력 1위 '초격차'… 삼성바이오, 글로벌 투자자 홀렸다

양연호 기자
입력 : 
2025-01-15 17:26:32
수정 : 
2025-01-15 22:54:06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글로벌 제약바이오 업계가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4일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2조원의 위탁생산 수주 소식을 발표하며 주목받았다.

존 림 대표는 지난해 5조원을 넘는 수주를 달성하고, 연간 매출액이 전년 대비 15~20% 증가해 상장 당시 매출의 약 15배로 성장했다고 밝혔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7년까지 새로운 생산라인을 구축하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존림 대표 발표에 관심집중
상장이후 年평균 40% 성장
5공장 곧 가동…6공장도 준비
ADC 항암제 내달부터 생산
펩타이드 의약품 생산도 추진
◆ JP모건 콘퍼런스 ◆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가 14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JPMHC)'의 메인 행사장인 그랜드볼룸에서 발표하고 있다. 존 림 대표는 생산능력 확보와 비즈니스 포트폴리오, 지리적 거점 등 '3대 축' 전략을 비결로 꼽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가 14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JPMHC)'의 메인 행사장인 그랜드볼룸에서 발표하고 있다. 존 림 대표는 생산능력 확보와 비즈니스 포트폴리오, 지리적 거점 등 '3대 축' 전략을 비결로 꼽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글로벌 제약바이오 업계는 혹한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 고군분투하고 있지만 주가가 급락하고 실적 전망도 줄줄이 낮추는 분위기다. 14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에 전 세계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된 이유다.

이 회사는 전날 2조원이 넘는 위탁생산(CMO) 수주 소식을 알렸으며 대한민국 제약바이오 업계 최초로 연매출액 4조원 달성(2024년 기준)이 유력하다. 올해는 지난해 12월 완공한 항체약물접합체(ADC) 전용 생산시설이 다음달부터 생산을 시작하며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도 가속이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발표자로 나선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사상 최대 연간 실적과 수주 달성을 주요 성과로 꼽았다. 그는 "지난해 수주금액은 5조원을 돌파했고 누적 수주액도 창사 이래 176억달러를 넘어섰다"며 "매출액은 전년 대비 15~20% 증가해 상장 당시인 2016년 매출(2946억원)의 약 15배나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연평균 성장률(CAGR)은 40%를 웃돈다.

생산능력 확보와 비즈니스 포트폴리오, 지리적 거점 등 '3대 축' 확장 전략이 주효했다고 존 림 대표는 밝혔다. 지속적인 공장 증설과 신규 모달리티(Modality·약물전달기술)를 통한 포트폴리오 다변화, 수주 저변 확대를 위한 신규 지역 진출 등이 맞물리면서 대내외 변수에도 흔들리지 않고 꾸준한 성장을 견인했다는 설명이다.



사진설명
공격적인 증설은 현재 진행형이다. 18만ℓ 규모의 5공장은 올해 4월 완공 직후 시험생산을 시작한다. 5공장이 가동에 들어가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총 78만4000ℓ의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이는 글로벌 톱티어 위탁개발생산(CDMO) 업체 론자를 압도하는 세계 1위 규모다. 존 림 대표는 "아직 이사회 승인이 남아 있지만 2027년 가동을 목표로 6공장 착공도 준비하고 있다"며 "생산 거점은 여전히 인천 송도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해외 공장 인수 가능성도 열어두고 현지 실사를 진행했지만 재무나 시장성, 시너지 등 내부 기준을 모두 충족한 후보군은 아직까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포트폴리오 다변화도 주목할 만하다. 2016년 상장 당시 단일 항체의약품 위주였던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주력 생산 제품은 이제 다중항체를 비롯해 mRNA(메신저리보핵산) 등 차세대 세포유전자치료제(CGT)로 확장됐다. 올해 2월부터는 ADC 전용 생산시설이 가동에 들어간다. 존 림 대표는 "2027년 1분기를 목표로 ADC 완제의약품(DP) 생산라인을 구축하는 등 포트폴리오를 확대할 것"이라며 "아직까지는 개발 단계에 머물러 있는 AAV(아데노연관바이러스)와 펩타이드 의약품 등의 생산도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삼성바이오로직스는 DP 서비스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기 위해 사전충전형 주사기(PFS) 생산설비를 구축할 계획이다. 2027년 10월 가동이 목표다. 지역 거점도 확대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상위 20곳을 넘어 40위권 기업까지 수주 범위를 넓히기 위해 일본 도쿄에도 세일즈 오피스를 열었다. 존 림 대표는 "지난해 14곳이었던 빅파마 고객사가 지금은 17곳으로 늘었다"고 전했다.

한편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비약적으로 성장하면서 K바이오의 위상이 달라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존 림 대표가 발표한 장소는 메인 행사장인 '그랜드 볼룸'으로, 공식 초청 기업 550여 곳 중에서도 선별된 27곳만이 발표할 수 있는 무대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일라이릴리(Eli Lilly), 아스트라제네카(AZ) 등 글로벌 빅파마들과 행사 이틀차로 배정됐다.

[샌프란시스코 양연호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