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장관賞

지난해 2월 금융위원회에서 발표한 토큰증권 발행·유통 규율체계 정비 방안은 비유적으로 음식(증권)과 그릇(발행 형태)이라는 개념을 통해 새로운 제도를 안내하고 있다. 새로운 음식인 비정형적 증권(비금전신탁수익증권, 투자계약증권)을 분산원장 기반의 새로운 그릇(토큰증권)을 통해 먼저 허용하고, 이후 주식·채권 등 정형적인 증권이 토큰증권에 담길 가능성도 있다.
하나증권이 토큰증권에 관심을 두고 선제적으로 접근하는 이유도 블록체인이 가진 확장성과 활용성에 있다. 지금까지의 전통 증권금융은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을 위한 제도에 큰 초점이 맞춰져 있었지만, 토큰증권을 통해 소규모 자금의 수요와 공급이 효과적으로 연결된다면 금융 제도에서 소외당했던 다수의 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블록체인 기반의 유틸리티 기능을 적극 활용한다면, 사회 인프라 연계 및 사회적 비용 감축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다. 현재 하나증권은 토큰증권과 함께 비상장주식 거래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하나증권은 "해당 서비스를 통해 작지만 경쟁력 있는 비상장기업들의 자금 확보를 위한 기회의 장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생 금융을 위한 환경적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원호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