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IT·과학

개인정보위, 네오팜에 1억원 과징금…30만명 회원정보 유출

정호준 기자
입력 : 
2024-10-24 15:37:27
수정 : 
2024-10-24 15:38:2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23일 제17회 전체 회의를 열고 개인정보보호 법규를 위반한 온라인 쇼핑몰 네오팜과 일학 등 2개 사업자에 대해 총 1억2317만원의 과징금과 108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기로 의결했다고 24일 밝혔다.

화장품 등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 사업자인 네오팜에선 지난해 해커가 쇼핑몰 관리자 계정을 사전에 획득한 뒤 웹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해 쇼핑몰 전체 회원의 개인정보를 빼냈다.

개인정보위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해커는 지난해 8월 5일부터 약 2주간 관리자 페이지에 750여회 접속해 네오팜 쇼핑몰 전체 회원인 29만3723명의 개인정보를 탈취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이 2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된 2024년 제17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전체 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이 2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된 2024년 제17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전체 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23일 제17회 전체 회의를 열고 개인정보보호 법규를 위반한 온라인 쇼핑몰 네오팜과 일학 등 2개 사업자에 대해 총 1억2317만원의 과징금과 108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기로 의결했다고 24일 밝혔다.

화장품 등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 사업자인 네오팜에선 지난해 해커가 쇼핑몰 관리자 계정을 사전에 획득한 뒤 웹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해 쇼핑몰 전체 회원의 개인정보를 빼냈다.

개인정보위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해커는 지난해 8월 5일부터 약 2주간 관리자 페이지에 750여회 접속해 네오팜 쇼핑몰 전체 회원인 29만3723명의 개인정보를 탈취했다. 이 과정에서 해커는 44만건의 불법 문자도 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정보위는 이같은 대규모 유출 사고가 발생한 이유로 네오팜의 개인정보 처리시스템인 웹 관리자 페이지가 추가 인증수단 없이 아이디와 비밀번호만으로 로그인이 가능하게 운영되고 있던 점을 꼽았다.

또한 네오팜이 개인정보 취급자별로 계정을 부여하지 않고 부서별로 계정을 공유하는 등 접근권한에 대한 관리도 소홀한 사실과, 유출된 이용자를 대상으로 개인정보 유출 통지를 지연한 사실도 확인됐다.

개인정보위는 네오팜에 과징금 1억517만원과 과태료 720만원을 부과하고 개인정보위 홈페이지에 그 결과를 공표하기로 했다.

낚시용품을 온라인으로 판매하는 사업자인 일학은 지난해 12월 17일부터 이틀간 해커의 에스큐엘(SQL) 삽입 공격을 받아 개인정보가 유출됐다. 해커는 일학의 쇼핑몰 게시판에 1만여명의 개인정보를 게시하기도 했다.

개인정보위에 따르면 일학은 웹 관리자 페이지에 로그인 시 안전한 인증수단을 적용하지 않았고, 외부로부터 불법적인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침입 탐지·차단 시스템 운영도 부실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개인정보위는 일학에 과징금 1800만원과 과태료 360만원을 부과하고 사업자 홈페이지에 그 사실을 공표하도록 명령했다.

개인정보위는 “웹사이트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사업자는 회원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웹 관리자 페이지 운영 시 개인정보 취급자 계정 관리, 보안 취약점에 대한 점검 등을 주기적으로 실시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