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국회가 지난 1년간 발의한 규제법안은 2830건에 달한다. 환경과 안전을 위해 필요한 것도 있지만, 상당수는 기업의 투자를 위축시키고 결과적으로 일자리 창출 능력을 약화시키는 '나쁜 규제'다. 대외적 불확실성 확대와 내수 침체에 직면한 기업들을 도와주지는 못할망정 국회가 발목을 잡은 꼴이다. 입법 실적을 쌓겠다며 규제법안을 남발하는 것은 민생침해 범죄와 같다. 규제의 영향과 부작용을 평가해 '나쁜 규제'를 입법 단계에서 걸러내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좋은규제 시민포럼'이 지난 9일 국회에서 개최한 '22대 국회 입법평가와 차기 정부 규제개혁과제 세미나'에 따르면 지난 1년간 2830건, 주당 60여 건꼴로 규제법안이 발의됐다. 의원 평가에 법안 발의건수를 반영해 날림으로 만든 규제법안이 양산된 결과다. 역대 모든 정부가 출범 초 규제개혁을 기치로 내걸곤 했지만 정치권의 규제 포퓰리즘과 관료사회의 타성 등으로 인해 번번이 용두사미(龍頭蛇尾)에 그쳤다. 강영철 포럼 이사장은 "정치적 올바름이 경제적 올바름을 압도하는 규제 환경이 개선되지 않아 민간의 자율과 창의를 저해하는 핵심 규제들은 어떤 정권에서도 개혁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날 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6·3 대선 후 출범하는 새 정부가 기업 성장을 가로막는 규제를 과감히 철폐할 것을 주문했다. 특히 과거 굴뚝산업 시대에나 어울릴 법한 낡은 규제체계를 인공지능(AI)·바이오 등 신산업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뜯어고쳐야 한다. 국책연구원의 진단도 이와 다르지 않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최근 보고서에서 2040년대 한국 경제 잠재성장률이 마이너스로 떨어질 것이라 경고하며 시장 진입 규제와 경쟁 제한 규제, 노동시간 규제 등을 완화해야 성장 둔화를 늦출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규제개혁으로 잠재성장률을 끌어올릴 수 있는 시간도 몇 년 남지 않았다.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성장 불씨가 완전히 꺼져버린 뒤엔 규제를 없애도 약발이 듣지 않기 때문이다. 차기 정부는 규제개혁의 마지막 골든타임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기사 상세
사설
주당 60건씩 규제법안 쏟아낸 국회, 이러니 잠재성장률 추락 [사설]
- 입력 :
- 2025-05-11 16:54:39
- 수정 :
- 2025-05-11 19:46:40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2대 국회가 지난 1년 동안 발의한 규제법안은 2830건에 달하며, 이 중 상당수는 기업의 투자를 위축시키는 '나쁜 규제'로 지적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오는 6·3 대선 이후 출범할 새 정부가 낡은 규제체계를 혁신하여 기업 성장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문하며, 규제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성장 둔화를 늦추기 위해 시장 진입 규제와 경쟁 제한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경고하며, 차기 정부가 규제개혁의 마지막 기회를 잡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글자크기 설정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3
인기뉴스
2025-10-06 21:59 기준
-
1
“돼지갈비찜, 잡채”…구치소서 추석 맞는 윤 부부
2025-10-06 06:39:49
-
2
트럼프, 해군 기념식서 “세계 각국 美조선업에 수천억불 투자”
2025-10-06 10:17:39
-
3
“밖에서 밥 사먹기 무서워요”…3천원대 프리미엄 버거가 잘 팔리네
2025-10-05 11:21:19
-
4
“1㎏ 161만원, 한우보다 비싸”…이것 때문에 산 오르는 20대들
2025-10-05 16:19:34
-
5
동남아 더이상 가성비 아니다?…한국인 관광객 없이 싸고 힐링되는 태국 비밀낙원
2025-10-06 17:47:48
-
6
“미국엔 물건 안 팔아”…세계 수출 증가에도 관세 장벽 역풍
2025-10-05 11:32:13
-
7
이재명 대통령 국정 지지율 53.5%…4주 만에 반등, 민주 47.2[리얼미터]
2025-10-06 08:33:18
-
8
“추모 시간 감안”…이재명 대통령 부부 출연 ‘냉부해’, 마침내 오늘 방영
2025-10-06 09:07:09
-
9
오은영 박사 화장까지 전담했다…올해 매출 1500억 전망하는 정샘물뷰티 [인터뷰]
2025-10-06 17:23:56
-
10
추석 끝나면 ‘두 번 접는 폰’ 시대 열린다…삼성, 트리폴드폰 출시 임박
2025-10-05 09:4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