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설

한덕수 출마로 시동건 단일화, 가치연대로 국민 판단 받아야 [사설]

입력 : 
2025-05-02 17:31:39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덕수 전 국무총리는 2일 6·3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하며, 보수진영의 후보 단일화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는 개헌, 통상 해결, 국민통합을 핵심 약속으로 내세우며, 대통령 임기 내에 개헌안을 마련 및 시행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보수 진영의 단일화가 단순히 반(反)이재명 연대에 그치지 않도록, 유권자의 기대에 부응하는 정치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6·3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3일 선출되는 국민의힘 후보와 단일화에 착수한다면 보수진영 '빅텐트'가 가시화할 전망이다. 보수 유권자들의 선택폭이 넓어진 것은 일단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하지만 후보 단일화가 으레 그렇듯 정치공학에 매몰된다면 유권자들의 외면을 받고 정치 무관심만 키우게 될 것이다. 그가 출마의 변에서 밝힌 '견제와 균형' '국민통합'과 같은 가치연대에 주력해 단일화에 대한 국민의 판단을 받아야 한다.

전날 총리직에서 사퇴한 그는 이날 '세 가지 약속'을 제시하며 출마를 공식화했다. 세 가지는 개헌, 통상 해결, 국민통합과 약자 동행이다. 특히 개헌 구상과 관련해선 대통령 당선 시 임기 첫날 대통령 직속 개헌 지원기구를 만들어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취임 첫해에 개헌안을 마련하고, 2년 차에 개헌을 완료하고, 3년 차에 새로운 헌법에 따라 총선과 대선을 실시한 뒤 대통령직을 내려놓겠다고 약속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후보 역시 4년 중임제 개헌 완수 후 집권 3년 만인 2028년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혔고, 김문수 후보는 국회와 헌법재판소의 권한을 축소하는 개헌 필요성을 주장했다. 따라서 보수진영 후보 단일화에 개헌을 핵심 연결고리로 삼는다면 대통령과 다수당의 권력 분산을 바라는 유권자들에게 소구할 수 있을 것이다.

지난 1일 대법원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을 유죄 취지로 파기 환송한 뒤 보수진영에선 단일화의 동력이 강해졌다며 반기고 있다. 하지만 보수진영이 단순히 반(反)이재명 연대만 내세우려 한다면 국정 정상화와 함께 정치개혁을 바라는 국민 눈높이를 충족시킬 수 없을 것이다. 선거 실무를 고려할 때 보수 단일화를 위한 시간은 앞으로 1주일이 채 남지 않았다. 후보들의 공약을 일일이 맞춰볼 수는 없더라도 집권 철학과 국정의 최우선 순위에 대한 큰 틀의 합의를 마련해야 한다. 시간에 쫓겨 여론조사 결과만으로 단일 후보를 결정한다면 정치공학에 익숙해진 국민에게 아무런 감동을 줄 수 없을 것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