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설

6·3대선, 韓경제 리부팅 공론장 돼야 [사설]

입력 : 
2025-04-13 17:14:02
수정 : 
2025-04-13 17:30:3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에 따른 조기 대선이 6월 3일로 예정되었으며, 이번 대선은 혼란과 분열을 극복하고 새로운 대한민국으로 나아가는 전환점이 되어야 한다.

현재 한국 경제는 내수 침체와 미국의 관세 전쟁 등의 복합적인 위기에 처해 있으며, 응답자 48%가 차기 대통령의 중점 분야로 '민생안정·경제활성화'를 선택했다.

대선 후보들은 실현 가능한 경제 구조 개혁과 혁신의 청사진을 제시하면서 경제정책에 대한 치열한 논의를 이어가야 할 것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에 따른 조기 대선(6월 3일)이 50일 앞으로 다가왔다. 탄핵정국을 거친 후 치러지는 이번 대선은 혼란과 분열에 종지부를 찍고, 새로운 대한민국으로 나아가는 전환점이 돼야 한다. 정치개혁, 국민통합 등 해결해야 할 시대적 과제가 산적해 있다. 모두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일촉즉발 위기에 놓인 경제를 정상화하는 것이다. 대선주자들이 핵심 토론 주제로 삼고 경쟁을 펼쳐야 할 부분도 바로 '한국 경제 리부팅'이다. 정쟁 대신 대한민국이 미래에 뭘 먹고, 어떻게 살지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진지한 토론에 나서야 한다.

대선 레이스는 이미 시작됐다.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비롯해 김문수 전 노동부 장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등이 출마를 선언했다. 이 전 대표는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먹사니즘'과 더 행복한 삶을 지향하는 '잘사니즘'을 내세웠다. 국민의힘은 대선 슬로건을 '경제는 국민의힘'으로 정했다. 당과 주자들이 '경제'를 강조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하지만 정치적 수사로 포장한 구호나 정책은 총체적 위기에 처한 경제의 해법이 되기에는 역부족이다.

지금 한국 경제는 '내우외환'의 위기에 놓여 있다. 내수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이 관세 전쟁 방아쇠를 당기면서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수출마저 쪼그라들면 우리 경제는 성장 궤도를 이탈할 가능성이 커진다. 중국 특수에 취해 산업 구조조정을 미루면서 미래 먹거리를 확보하지 못한 것도 뼈아프다. 고령화와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성장 잠재력을 갉아먹고 있다. 그동안 땜질 처방으로 버텨왔지만, 경제 구조와 체질을 개선하지 못하면 미래가 어둡다.

국민이 가장 걱정하는 것도 경제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차기 대통령이 중점을 둬야 할 분야로 '민생안정·경제활성화'를 꼽은 응답자(48%)가 가장 많았다. 이번 대선은 경제 구조 개혁과 혁신의 전기가 돼야 한다. 대선 후보들은 선심성 공약이 아닌 실현 가능한 청사진을 제시해야 한다. 앞으로 50일이 불꽃 튀는 경제정책 대결 공론의 장이 되길 기대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