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설

교육교부금 72조…국민연금 영구해결할 만큼 큰돈 [사설]

입력 : 
2025-03-31 17:37:37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부는 '교육 교부금'을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며, 현재 국가 재정이 위태로운 상황에서 필요한 조치라고 밝혔다.

한국개발연구원에 따르면 교육 교부금 구조조정을 통해 연평균 26조원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는 국민연금 기금을 고갈시키지 않는데 기여할 수 있다.

교육청에게 재정 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필요하며, 국회는 관련 법안을 신속히 통과시켜야 한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정부가 시도 교육청에 지급하는 '교육 교부금'을 줄이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이는 반드시 필요한 조치다. 지금 국가채무가 1100조원을 넘을 정도로 국가재정이 위태롭다. 그런데도 교육청은 내국세의 20.79%를 교육 교부금으로 지급해야 한다는 법 규정을 이용해 국가에서 돈을 계속 타 간다. 2015년만 해도 39조원이던 교부금이 올해에는 72조원을 넘을 전망이다. 교육청은 이 돈을 흥청망청 쓴다. 불과 몇 년 전에 96억원을 들여 리모델링한 학교를 새로 짓는다며 370억원을 쓰는 식이다. 국민 세금을 이렇게 낭비해서는 안 된다. 국민 노후 붕괴나 저출산 같은 국가 위기 극복에 써야 한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교육 교부금을 구조조정하기만 해도 40년간 1047조원(연평균 26조원)의 재정을 절감할 수 있다고 한다. 학생 1인당 교부금 규모를 1인당 경상 국내총생산(GDP)의 27%에 맞추면 가능하다고 했다. 그렇다고 해서 선진국 대비 교육 수준이 낮아지는 것도 아니다. KDI는 "선진 20개국(G20) 상위 국가들이 학급당 또는 교원 1인당 학생 수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 교부금액(20.9%)보다 높다"고 했다. 반면 학생 수가 줄어드는데도 지금 방식대로 교부금을 지급하면 그 비율이 2035년이면 37.8%에 이를 것이라고 했다. 이 정도면 재정 낭비다.

연평균 26조원의 절감액은 결코 적지 않은 돈이다. 국민연금재정계산위원회는 GDP의 1%(약 25조원)의 재정을 국민연금에 투입하면 기금 고갈을 영구히 막을 수 있다고 했다. 구조조정의 여지가 있는 교육 교부금이 그만큼 큰돈이다.

물론 아낀 교육 교부금을 다른 용도에 쓸 수도 있을 것이다. 영국 인구 통계학자 폴 몰런드는 한국이 2024년 합계 출산율(0.74명) 수준의 저출산이 지속된다면 3세대 후에는 인구의 90%가 증발할 것이라고 했다. 이런 인구 위기를 막는 데에도 돈을 써야 한다.

시도 교육감들은 더 이상 교부금 구조조정을 방해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국회도 정부와 협력해 조속히 관련 법안을 통과시켜야 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