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설

"삼성다운 저력 잃었다"는 자성 [사설]

입력 : 
2025-03-17 17:29:31
수정 : 
2025-03-17 19:48:4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임원들에게 "삼성다운 저력을 잃었다"며 현재의 위기 상황에 대한 심각성을 강조하고, 절박한 각오로 대응할 것을 주문했다.

삼성의 주요 문제는 반도체 사업 부진으로, 지난해 영업이익이 SK하이닉스에 크게 뒤처졌으며, 기술 경쟁력 약화가 그 원인으로 지적된다.

삼성은 경영진단실 신설과 기술 혁신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이러한 노력이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조직문화의 변화도 필수적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임원들에게 "삼성다운 저력을 잃었다"며 "'사즉생'의 각오로 위기에 대처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삼성은 최근 임원 세미나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이 회장의 메시지를 공유했다. "죽느냐 사느냐 하는 생존의 문제에 직면했다"는 이 회장의 뼈아픈 자성은 그만큼 현 상황이 심각하다는 방증이다. 한때 '초격차'를 자랑하던 삼성이 핵심 사업에서 경쟁사에 밀리고, 글로벌 경영 환경마저 악화되면서 과연 위기를 돌파할 수 있을지 우려가 크다.

복합위기에 직면한 삼성의 가장 큰 문제는 주력인 반도체 사업 부진이다.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15조1000억원으로 SK하이닉스(23조4673억원)에 크게 못 미쳤다. 고부가가치 제품인 고대역폭메모리(HBM)의 투자 타이밍을 놓친 탓이다. 파운드리 사업 또한 수조 원대의 적자를 내며 대만 TSMC와의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반도체 관세 부과 방침과 보조금 폐지 움직임도 미국 투자 전략에 큰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삼성이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서는 단기 대응책을 넘어 근원적 경쟁력 강화가 필수다. 실력 키우기를 통한 기술력 회복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반도체 시장을 이끌었던 삼성이 HBM과 파운드리에서 뒤처진 이유는 결국 기술 경쟁력 약화다. 당장의 이익보다 미래를 위한 과감한 투자, 강력한 컨트롤타워 구축, 기술 혁신에 대한 집중이 절실하다.

삼성도 경영진단실 신설과 미래로봇추진단 가동, 반도체 전문가 영입 등 나름의 쇄신 작업을 벌이고 있다. 5세대 HBM인 HBM3E 개선 제품과 6세대 HBM인 HBM4 양산 계획도 세웠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이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과감한 기술 혁신과 함께 조직문화 혁신도 동반돼야 한다. 도전과 혁신을 가로막는 내부 보신주의 타파가 급선무다. 그런 점에서 이번에 '독한 삼성인'이란 화두를 꺼낸 것은 시의적절하다. 삼성은 과거에도 수차례 위기를 경험했지만 그때마다 혁신으로 돌파해왔다. 이번 위기 역시 '삼성다운 저력'을 되찾는 전환점이 돼야 할 것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