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며칠 앞으로 다가왔다. 선고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 100일 가까이 권한대행 체제로 꾸려온 국정이 정상화되려면 오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안팎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하지만 가장 시급한 것은 궤도를 이탈하고 있는 한미 두 나라 간 동맹과 경제협력 틀이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의 전통적인 대외정책을 송두리째 흔들고 있다. 유럽 동맹에 대한 방위비 인상 압박과 친러시아적인 우크라이나 종전협상, 동맹을 가리지 않는 관세전쟁이 대표적이다. 16일에도 트럼프는 상호관세와 부문별 관세 부과를 예고대로 다음달 2일 시행한다고 밝혔다.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은 세계 각국과 양자 협상을 통해 새로운 무역협정을 체결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입맛에 맞게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개정하거나, 아예 새로운 협정을 강요할 수 있다는 의미다. 미국 일방주의에 모든 나라들이 혼란을 겪고 있지만 한국이 더 취약한 것은 혼미한 정치 상황 때문이다. 비상계엄과 탄핵 사태로 인해 정상외교를 포함한 한미 직접대화 채널이 꽉 막혀 있다. '민감국가' 지정은 불안한 한미관계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미국 에너지부가 지난 1월 한국을 '민감국가' 명단에 추가함에 따라 앞으로 원자력 등 분야에서 미국과의 기술공유, 공동연구 등이 제한받을 수 있게 됐다. 미국의 일방적인 결정을 우리 정부가 이제서야 확인한 것도 충격적인데 아직 이유조차 파악할 수 없다는 사실에 기가 막힌다. 불과 몇 달 전 '한미 원전동맹'을 떠벌리다가 이제는 미국 연구기관 문턱조차 못 넘게 된 셈이다.
탄핵심판 결과가 나오면 달라져야 한다. 정상외교 재개 시점 등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제거되는 만큼 정부와 정치권은 꼬인 한미관계를 풀어나갈 구체적 조치를 취해야 한다. 국정 정상화 로드맵을 제시하고, 미국의 카운터파트가 누구인지부터 명확히 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선 헌재도 대미 관계에 전문성을 갖춘 한덕수 국무총리의 탄핵심판 결론을 서둘러 내줘야 한다.
기사 상세
사설
탄핵심판 끝나면 꼬인 한미관계부터 풀어야 [사설]
- 입력 :
- 2025-03-17 17:29:30
- 수정 :
- 2025-03-17 19:48:5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다가오면서, 한국의 정치적 상황과 한미 동맹의 불안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미국의 일방적인 외교 정책과 한국의 혼란한 정치가 맞물려, 한미 관계가 악화되고 있으며 원자력 기술 공유 등에서 제한이 예상된다.
앞으로 정부와 정치권은 탄핵심판 결과에 따라 구체적인 조치를 마련해 한미관계를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글자크기 설정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1
인기뉴스
2025-10-06 22:59 기준
-
1
“돼지갈비찜, 잡채”…구치소서 추석 맞는 윤 부부
2025-10-06 06:39:49
-
2
트럼프, 해군 기념식서 “세계 각국 美조선업에 수천억불 투자”
2025-10-06 10:17:39
-
3
“밖에서 밥 사먹기 무서워요”…3천원대 프리미엄 버거가 잘 팔리네
2025-10-05 11:21:19
-
4
“1㎏ 161만원, 한우보다 비싸”…이것 때문에 산 오르는 20대들
2025-10-05 16:19:34
-
5
동남아 더이상 가성비 아니다?…한국인 관광객 없이 싸고 힐링되는 태국 비밀낙원
2025-10-06 17:47:48
-
6
“남아돌아 그냥 막 버렸는데”…다이어트 효과 탁월 ‘이것’ 뭐길래
2025-10-06 20:56:14
-
7
“미국엔 물건 안 팔아”…세계 수출 증가에도 관세 장벽 역풍
2025-10-05 11:32:13
-
8
이재명 대통령 국정 지지율 53.5%…4주 만에 반등, 민주 47.2[리얼미터]
2025-10-06 08:33:18
-
9
“추모 시간 감안”…이재명 대통령 부부 출연 ‘냉부해’, 마침내 오늘 방영
2025-10-06 09:07:09
-
10
오은영 박사 화장까지 전담했다…올해 매출 1500억 전망하는 정샘물뷰티 [인터뷰]
2025-10-06 17:2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