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설

내년 의대생 아예 뽑지말라는 주장까지…해도 너무한 의사들 [사설]

입력 : 
2025-03-10 17:16:08
수정 : 
2025-03-10 19:15:1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부가 내년도 의대 정원을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발표했으나, 의료계의 반응은 여전히 부정적이다.

대한의사협회 내에서 의대 신입생을 올해 뽑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는 등 의료계의 협상 의지는 보이지 않고, 이번 갈등에서 정부는 행정 원칙을 잇따라 포기하게 됐다.

미래의 의료인을 마주 보며 의사단체는 환자와 의대생을 볼모로 하는 집단행동을 중단하고, 협의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정부가 내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전 규모(3058명)로 되돌리겠다며 한발 물러섰지만, 의료계 반응은 싸늘하다. 의대생과 전공의들은 학교와 병원으로 돌아갈 기미가 없고, 정부와 대화에 나서야 할 의사단체들은 무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 심지어 대한의사협회(의협) 내부 회의에서는 "내년 의대생을 한 명도 뽑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왔다고 한다. 의료시스템의 근본을 흔드는 무책임한 주장으로, 국민과 수험생은 아랑곳하지 않는 집단 이기주의의 발로다.

정부가 의대 증원을 원점으로 돌리며 백기투항한 것은 1년 넘게 계속된 의정갈등의 피해를 더는 감내하기 힘들다는 판단 때문이다. 응급의료 마비·중증 환자 수술 지연 등 의료 혼란을 수습하고 의대 교육을 정상화하기 위해 의료개혁 실패를 자인한 셈이다. 정책 실패의 일차적인 책임은 의료 인력 문제에 대한 소통 없이 증원을 추진한 정부에 있다. 그러나 지난해 2월 전공의 집단 사직 이후 한 차례도 진정성 있는 협상 의지를 보인 적 없는 의료계의 책임 역시 작지 않다.

정부의 입장 변화에도 의협은 의대 정원과 관련된 명확한 입장이나 대정부 요구안을 밝히지 않고 있다. 그것이 협상전략이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집행부 회의에서는 "2026학년도에는 의대 신입생을 뽑지 말아야 한다"는 실현 불가능한 주장을 펼치고 있다니 기가 막힐 따름이다. 의사들이 이렇게 나오는 것은 2000년 의약분업, 2020년 의대 증원·공공의대 신설 논란 당시 집단휴진으로 정부 계획을 무산시킨 전례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번 의정갈등 국면에서도 의료계의 버티기가 길어지자 정부는 강력한 행정 처분·사법 처리 등 원칙을 하나둘 포기하며 현재에 이르렀다. 이러니 "정부는 의사들을 이길 수 없다"는 이야기가 공공연히 나오는 것이다.

미래의 의사인 의대 신입생을 뽑지 말라는 것은 의료인 양성 시스템과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것이다. 의사단체는 환자와 의대생을 볼모로 삼는 집단행동을 중단하고, 의료 정상화를 위한 협의에 나서야 한다. 의사는 정부와 국민 위에 있는 존재가 아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