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이후 조세격차 증가폭
OECD회원국중 전체 1위 차지
OECD회원국중 전체 1위 차지
23일 매일경제가 OECD 자료를 분석한 결과, 평균임금 근로자 기준 한국의 조세격차는 2000년 16.4%에서 2024년 24.7%로 8.3%포인트 늘어 회원국 중 1위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OECD 평균은 오히려 1.3%포인트 감소했다. 최근 5년만 봐도 한국은 OECD 국가 중 에스토니아에 이어 두 번째로 빠르게 조세격차가 확대됐다. 조세격차는 고용주가 근로자 1명을 고용할 때 발생하는 총비용에서 근로자가 실제 손에 쥐는 실수령액을 뺀 비율로, 실질적인 세 부담을 보여주는 지표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고용 부담과 근로자가 체감하는 세금 부담이 커진다.
전문가들은 주요 원인으로 건강보험료 등 준조세 부담 확대와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의 경직성을 꼽는다. 건강보험료율은 2000년 2.8%에서 올해 7.09%로 두 배 넘게 올랐다. 동일한 소득 수준에서도 고용주와 근로자가 부담하는 보험료 총액이 가파르게 늘어났다는 뜻이다. 실제 2000년대 들어 사회보험료 증가폭은 4.9%포인트로, 같은 기간 세율 증가폭(4.6%포인트)을 웃돌았다. 또한 물가 상승에도 소득세 과표 구간은 2012년 이후 단 한 차례만 개편돼 자동 증세 효과가 발생했다. 실제 지난해 근로소득세는 전체 국세 수입의 19.1%로, 사상 처음 법인세를 앞질렀다.
이 때문에 대선 정국에선 소득세 완화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가족계수제 도입을,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과표 구간 물가연동제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류영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