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2025 서울머니쇼] "주담대 금리 3% 중반으로 떨어지면 집값 상승"

손동우 기자
입력 : 
2025-05-09 17:57:13
수정 : 
2025-05-09 20:25:00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9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서울머니쇼'에서 부동산 전문가들은 시장의 완전 회복이 아직 이르다고 진단하며, 전세 가격 상승과 금리 하락이 주택 가격을 지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가 3.5% 이하로 내려가고 서울 아파트 전세금이 매매값의 60%에 이를 경우 집값 과열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전문가들은 하반기 들어 상승 압력이 더 우세해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서울머니쇼 전문가들 전망
◆ 서울머니쇼+ ◆
9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서울머니쇼'에 참석한 부동산 전문가들은 "경매 등 여러 지표로 미뤄봤을 때 시장이 완전히 회복했다고 판단하기에는 이른 시점"이라며 2년 연속 오르고 있는 전세 가격과 금리가 내려갈 것이라는 전망이 주택 가격을 떠받치고 있다고 진단했다.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가 연 3.5% 이하로 내려가고 서울 아파트 전세금이 매매값의 60%에 달하면 집값 과열 조짐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진단도 나왔다.

최환석 하나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장은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가 3% 중반까지 내려오면 주택 시장 방향이 바뀔 수 있다"고 내다봤다. 현재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국내 4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6개월)는 연 4.07~5.59%다.

권대중 서강대 일반대학원 부동산학과 교수는 "현재 50% 초반대인 서울 전세가율이 55~60% 선까지 회복된다면 주택 매매 수요가 붙을 가능성이 있다"며 "실거주장으로 전환되면 부동산 시장 체력은 한층 탄탄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올 하반기로 갈수록 상승 압력이 상대적으로 우세해질 것으로 예상했다.

[손동우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