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백악관 “50여개국, 관세협상 하기 위해 연락왔다”

류영상 기자
입력 : 
2025-04-06 22:42:32
수정 : 
2025-04-06 23:50:0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 백악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50개 이상의 국가가 협상을 요청해왔음을 전했다.

케빈 해싯 NEC 위원장은 이러한 요청이 많은 관세 부담을 이해한 결과로, 관세가 미국 소비자에게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중국과의 무역적자 문제를 언급하며, 관세가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반박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EPA=연합뉴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EPA=연합뉴스]

미국 백악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관세 부담을 지게 될 국가들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협상을 요청해왔다고 밝혔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6일(현지시간) A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50개 이상의 국가가 대통령에게 협상 개시를 요청해왔다는 보고를 어젯밤 미무역대표부(USTR)로부터 받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그들은 많은 관세를 부담한다는 것을 이해하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것”이라며 “따라서 나는 (관세가) 미국 소비자에게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해싯 위원장은 또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드라이브에 대한 비판과 경고를 겨냥해 “논리적 단절이 있는 것 같다”고 일축했다.

해싯 위원장은 미국 내 전문가와 월스트리트에서 나오는 물가 인상 경고음에는 “가격이 어느 정도 오를 수 있다”면서도 “사실 미국 소비자에게 큰 부담이 될 것이라면,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한 이후 30년간 지속돼 온 (미국의) 무역적자가 줄어들었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또한 “(중국산) 값싼 상품이 답이라면, 미국의 실질 임금과 실질 복지를 향상할 수 있다면, 그 기간 실질소득이 증가했을 것이지만 실질 소득은 감소했다”며 “임금이 물가가 떨어진 것보다 더 많이 하락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해싯 위원장은 러시아가 이번 상호관세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이유를 묻자 “러시아, 우크라이나와 종전협상이 진행 중이고, 나는 대통령이 두 가지 문제를 하나로 묶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본다”며 “그렇다고 해서 러시아가 다른 나라와 달리 대우받는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답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