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단독]“은행계 트래블카드에 도전장”...BC카드, 지방銀·핀테크사와 연합군 결성

한상헌 기자
입력 : 
2025-03-23 12:36:5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BC카드가 지방은행과 핀테크사와 협력하여 기업계 카드사 최초로 트래블카드를 출시할 예정이다.

이번 트래블카드는 핀테크사의 외환 서비스와 연계하여 외화 충전 및 결제 기능을 지원하며, 이를 통해 지방은행 등도 트래블카드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BC카드는 증가하는 해외 결제 수요에 맞춰 이달 중 외화 충전·결제 플랫폼을 선보일 계획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BC·부산은행 트래블카드 준비 중
페이북 앱에 외화 머니 충전 기능
지방은행·상호금융권도 이용 가능
5대 은행 비중 컸던 시장 격변 예고
서울 중구 BC카드 본사 <사진=BC카드>
서울 중구 BC카드 본사 <사진=BC카드>

BC카드가 지방은행, 핀테크사와 손잡고 기업계 카드사 최초로 트래블카드를 선보인다. 기업계 카드사는 은행계 카드사와 달리 외환 기능이 없어 그동안 트래블카드 상품을 내놓는 데 한계가 있었다. 핀테크사의 외환 서비스를 통해 기업계 카드사도 트래블카드 시장에 진출할 수 있게 됐다.

23일 카드 업계에 따르면 BC카드는 부산은행 등 지방은행과 핀테크사와 협력해 트래블카드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BC카드의 ‘외화 머니’ 서비스는 ‘BC바로 MACAO카드’를 비롯해 부산은행 등 주요 지방은행의 주력 신용카드 상품에 탑재될 예정이다.

트래블카드는 외화 충전 기능이 필수적이다. 현재 트래블카드는 은행 외화계좌가 트래블카드에 연결된 형태다. BC카드는 외환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핀테크사와 손잡고 외화 충전·결제 플랫폼인 페이북 내 외화 머니를 이달 중 선보인다. BC카드의 페이북 애플리케이션(앱)에 핀테크사의 외화 선불 서비스가 탑재된 형태다. 신용카드 상품에 외화 선불 기능을 더해 한 장의 카드로 국내외 모든 가맹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페이북 앱에서 외화를 미리 충전해두면 해외 가맹점에서 결제 수수료 무료 혜택과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출금 기능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BC카드의 내 외화 머니 플랫폼을 통해 지방은행, 새마을금고나 신협 등 상호금융권 등도 트래블카드 시장에 적극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외환 기능을 가지고 있는 은행계 카드사에 비해 규모가 작은 지방은행 등 금융사는 트래블카드 상품을 출시하는 데 있어 비용 부담이 크다. BC카드를 이용할 경우 기존 신용카드 상품을 활용해 외화 충전·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트래블카드 시장에서 현재 은행계 카드 비중은 압도적이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올해 1~2월 개인 회원이 해외에서 신용카드와 체크·직불카드로 결제한 금액은 3조6026억원에 달했다. 전년 같은 기간 이용 금액인 3조3366억원보다 8.0% 증가했다. 이중 트래블카드를 판매 중인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점유율이 64.6%에 달했다. 신한카드가 20.1%로 가장 높았고, 하나카드(19.1%), KB국민(13.4%) 등이었다.

체크카드로 한정할 경우 5대 은행계 카드사의 점유율은 98.4%에 달한다. 다만, BC카드를 중심으로 다양한 트래블카드가 출시된다면 이런 흐름이 깨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BC카드 관계자는 “증가하는 해외 결제 수요에 맞춰 이달 중 외화 충전·결제 플랫폼을 선보일 예정”이라며 “지방은행, 상호금융 등 고객사가 보다 효율적으로 트래블카드 시장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교두보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