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이제 이삿짐 싸도 되는 거야?”…토허제 해제 영향, 아파트 입주전망지수 반등

조성신 기자
입력 : 
2025-03-12 09:50:0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울 아파트 입주 전망 지수가 5개월 만에 81.5로 반등했으며, 이는 토지 거래 허가 구역 해제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이와 함께 경기 전반에서도 상승세가 보이고 있으며, 대출 규제가 완화된 점도 영향을 미쳤다.

반면, 인천과 5대 광역시, 도지역의 입주전망지수는 각각 하락하는 등 지역별 차이를 보이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이삿짐을 나르고 있는 사다리차 [사진 = 연합뉴스]
이삿짐을 나르고 있는 사다리차 [사진 = 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입주 전망 지수가 5개월 만에 반등했다. 토지거래허가 구역 해제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12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이 공개한 이번 달 서울의 아파트 입주 전망 지수는 81.5로 전월 대비 5.7포인트 상승했다.

입주전망지수는 아파트를 분양받은 사람이 정상적으로 잔금을 내고 입주할 수 있을지를 예상하는 지표다.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해 산출한다. 100을 기준점으로 100 이하면 입주 경기에 대한 부정적 전망이 우세하고, 100 이상이면 긍정적 전망이 많다는 의미다.

지난해 10월 이후 계속 하락했던 서울 입주 전망 지수는 5개월 만에 상승으로 돌아섰다. 경기 역시 8.3포인트(65.3→73.6) 올랐다. 반면, 인천(68.1→62.0)은 6.1포인트 하락했다.

이에 따라 수도권(69.8→72.4)도 2.6포인트 올랐다.

입주전망지수 반등과 관련, 주산연 관계자는 “지난달 서울시가 토지 거래 허가 구역을 해제하면서 강남3구(강남·서초·송파)를 비롯한 서울과 인근 경기 주요 지역의 주택 가격이 상승하고 거래량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대출 규제까지 완화되면서 서울과 경기의 입주전망지수가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실제 작년 10월 이후 3000건 대에 머물던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달 2000건을 넘었다.

5대 광역시(75.3→71.9)와 도지역(78.0→75.9)의 입주전망지수는 각각 3.4포인트, 2.1포인트 하락했다.

지난달 전국 입주율은 70.4%로 지난해 12월 대비 6.9%포인트 상승했다. 2월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2만1404가구)이 전월(3만3723가구)보다 37% 감소하며 입주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해석됐다.

미입주 원인으로는 잔금 대출 미확보(37.9%)가 가장 많았다. 이어 기존 주택 매각 지연(31.0%), 세입자 미확보(19.0%), 분양권 매도(5.2%)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업계 관계자들은 입주 물량 감소 여파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최근 3년간 아파트 착공 물량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추후 전월세 가격의 상승 압력도 가중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