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다시 오르네? 일단 보류”…집값 꿈틀하자 주택연금 가입 반토막

조성신 기자
입력 : 
2025-03-08 22:22:5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올 초 집값 상승 기대가 커지면서 주택연금의 인기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주택연금 신규 가입자는 올해 1월 762건으로 지난해 12월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며, 이는 19개월 만의 최저치다.

주택 보유자가 집값 상승을 고려해 시세 차익을 남기는 것이 더 유리하다고 판단하는 경향이 늘어나면서 이러한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작년 12월 1507건서
올 1월 762건 ‘반토막’
연휴 고려해도 낙폭 커
‘내집연금 3종 세트’ 상담 받는 시민들 [사진 = 연합뉴스]
‘내집연금 3종 세트’ 상담 받는 시민들 [사진 = 연합뉴스]

올해 초 집값 상승 기대가 모처럼 살아난 가운데 주택연금 인기가 급속히 식고 있다. 9개월 만에 가입자가 최고치를 기록한 지난해 12월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주택연금은 만 55세 이상 주택 소유자가 집을 담보로 맡기고, 그 집에 계속 거주하면서 매달 노후 생활비를 연금 형태로 받는 제도다.

8일 한국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올해 1월 주택연금 신규 가입은 762건으로, 이는 지난해 12월(1507건)의 절반 수준인 동시에 2023년 6월(710건) 이후 19개월 만의 최저치다.

주택연금 가입은 지난해 9월 869건, 10월 1070건, 11월 1275건, 12월 1507건 등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그러다 올해 첫 달 증가세가 급격하게 꺾였다.

주택을 보유했다가 팔아 시세 차익을 남기는 편이 나중에 연금을 받는 것보다 경제적으로 유리하다고 판단하는 경우가 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국토연구원의 올해 1월 기준 부동산 시장 소비자 심리 조사 결과를 보면 서울 주택 매매 시장 소비 심리 지수가 110.4다. 지난해 7월 140.6을 기록한 뒤 5개월 연속 하락해 12월 107.7까지 떨어졌지만, 6개월 만에 반등한 것이다.

같은 기간 경기는 100.2에서 103.8로, 인천은 98.4에서 104.1로 각각 올랐으며, 비수도권 지역도 대체로 상승세를 나타냈다.

정성진 어반에셋매니지먼트 대표는 “주택연금은 집값이 계속 오를 거란 기대가 약할 때 빛을 발한다”면서 “집을 담보로 연금을 받는데, 집값이 오르면 집값 상승의 혜택을 온전히 누릴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즉, 집을 보유하고 있다가 적당한 시점에 팔아 시세 차익을 남기면 더 큰 경제적 이득을 볼 수 있단 판단을 하는 집주인들이 늘었다는 것이다.

한편 주택금융공사는 이달 1일부터 주택연금 신규 신청자의 월지급금을 평균 0.42% 인상했다. 이는 주택 가격 상승률, 이자율 추이, 기대 여명 증가 등 주택연금 주요 변수 재산정을 반영한 결과다.

다만 기존 가입자와 지난달 28일까지 신청한 고객은 월지급금 변동 없이 기존 금액이 유지된다.

주택연금은 평생 연금 형태로 지급돼 안정성이 높지만, 중도 해지 시 일부 불이익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의 재정 상황과 집값 전망을 충분히 고려한 후 가입 여부를 신중히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