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반도체 수출마저… 16개월만에 마이너스

신유경 기자
입력 : 
2025-03-02 17:31:28
수정 : 
2025-03-02 17:33:1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가 16개월 만에 수출 감소로 전환하면서 수출 부진 경고등이 켜졌다.

지난달 반도체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3% 감소해 전체 수출액은 겨우 1% 증가한 반면, 올해 누적 수출액은 여전히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가 실제로 시행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올해 수출 상황에 많은 도전이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지난달 1년 전보다 3% 감소
韓 수출둔화세 본격화 전망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수출이 16개월 만에 마이너스 전환하면서 올해 수출 부진 경고등이 켜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까지 본격화되면 수출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달 반도체 수출은 96억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3% 감소했다.

2023년 11월 반도체 수출이 플러스 전환한 후 15개월 연속 증가했던 흐름이 끊긴 것이다. 지난해 2월 66.7%였던 반도체 수출 증가율은 올 1월 8.1%로 떨어졌다. 중국산 저가 공세로 낸드플래시 등 범용 메모리 반도체 고정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며 지난달 반도체 수출이 하락세로 전환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낸드(128Gb) 고정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53.1% 하락했다. 지난달 대중국 반도체 수출액도 크게 줄며 전년 동월 대비 15.3% 감소했다. 지난달 전체 수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1% 증가한 526억달러를 기록하며 한 달 만에 플러스 전환했다. 무선통신기기·자동차 등이 수출 반등을 견인했다. 무선통신기기는 전년 동월 대비 42.3%, 자동차는 17.8% 수출액이 증가했다. 지난달 무역수지도 43억달러 흑자를 달성하며 흑자 전환했다.

하지만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누적 수출액은 1017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75% 줄어들었다. 설 연휴 영향을 배제하더라도 올해 수출액이 감소한 것으로 수출 둔화세가 본격화되는 모양새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가 실제로 적용된 건 아님에도 수출 실적이 좋지 않게 나왔다"며 "올해 수출 상황은 상당히 많은 도전을 받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유경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