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대학 졸업후 바로 취업 힘들어지네”…대기업 신입 10명 중 3명은 직장 경력

최종일 기자
입력 : 
2025-03-02 10:01:2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난해 대기업에 입사한 대졸 신입사원 중 28.9%가 평균 1~2년의 경력을 가진 '중고 신입'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들은 경력직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면서 올해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 인원의 31.2%가 경력직으로, 이는 지난해보다 3.1%포인트 상승한 수치이다.

한편, 대기업의 대졸 신입직원 평균 연봉은 4669만원으로, 지난해보다 165만원 상승하였지만 인재 유치는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2024 국립한국해양대학교 취업박람회’가 열린 24일 오전 부산 영도구 한국해양대 체육관에서 구직자들이 채용 상담을 받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2024 국립한국해양대학교 취업박람회’가 열린 24일 오전 부산 영도구 한국해양대 체육관에서 구직자들이 채용 상담을 받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지난해 대기업에 입사한 대졸 신입사원 10명 중 3명은 이른바 ‘중고 신입’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고 신입의 평균 경력은 1~2년을 가진 이들이 가장 많았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최근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126개사 응답)을 대상으로 한 ‘2025년 상반기 주요 대기업 대졸 신규채용 계획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대졸 신규 입사자 28.9%는 이미 경력이 있었다.

이는 지난 2023년 대졸 신규 입사자 중 중고 신입의 비중(25.7%)보다 3.2% 포인트 오른 수준이다.

중고 신입의 평균 경력 기간은 ‘1~2년’(50.8%)이 가장 많았다. 이어 ‘6개월~1년’이 32.2%로 뒤를 이었고, ‘2~3년’(8.5%), ‘3년 이상’(5.1%), ‘6개월 미만’(3.4%) 순이었다.

더불어 대기업의 경력직 선호 현상도 강해지고 있다. 올해 상반기 대졸 신규채용 계획인원 중 경력직 비중은 평균 31.2%다. 지난해 동기 대비 3.1%포인트 올랐다.

한경협 관계자는 “경기가 둔화하고 통상 불확실성이 확대돼 기업들이 신속히 성과를 낼 수 있는 실무 경험을 가진 인재를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채용 전반에서 다소 경력 있는 인재를 우대하는 분위기가 우세하다”고 설명했다.

또 대기업 대졸 신입직원의 평균 연봉은 4669만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4504만원)보다 165만원 올랐다.

이어 ‘4500만~5000만원’이 27.8%로 가장 많았고 ‘4000만~4500만원’·‘5000~5500만원’이 나란히 23.8%로 뒤를 이었다.

27일 오전 인천 영종도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교통센터에서 열린 2024 항공산업 잡페어에서 한 구직자가 채용 공고 게시판을 살피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27일 오전 인천 영종도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교통센터에서 열린 2024 항공산업 잡페어에서 한 구직자가 채용 공고 게시판을 살피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와 함께 취업 경쟁은 심해지고 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대기업은 인재 유치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채용 시 어려움으로 ‘기업 요구수준에 부합하는 인재를 찾기 어려움’(29.0%)이 가장 높게 나왔다. 이어 ‘채용 후 조기퇴사자 발생’(26.0%), ‘채용 과정에서 이탈자 발생’(17.7%)이 뒤를 이었다.

이 밖에도 ‘허수 지원자가 많음’(13.0%), ‘인공지능·빅데이터 등 신산업과 신기술 인재 부족’(5.2%) 순이었다.

인력확보가 가장 어려운 직군은 연구·개발직이 34.3%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전문·기술직 23.2%, 생산·현장직 16.0% 순이었다.

신규 채용 계획 인원을 전공별로 보면 이공계열이 65.4%로, 인문계열 32.9%의 두 배에 이르렀다.

한경협 관계자는 “AI·반도체 등 글로벌 기술 경쟁이 치열하면서 첨단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 인력 부족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4~13일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국내 500대 기업 인사 담당자를 대상으로 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7.56% 포인트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