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내 집 마련을 위한 ‘영끌’ 여전하네”…지난해 말 주담대 12조 증가

최종일 기자
입력 : 
2025-02-18 16:49:4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난해 4분기 가계 신용 잔액이 1927조3000억원으로 집계되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주택담보대출은 증가한 반면 신용대출은 감소했다.

주택 거래량은 줄어들었고, 은행 및 금융당국의 대출 관리로 가계 빚 증가 속도가 완화되었지만, 지난해 전체 가계신용은 2.2% 증가하여 41조8000억원 증가했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지난해 GDP 성장률이 6% 이상인 점을 감안할 때 가계신용 비율이 하락하는 것이 정부와 한은의 목표에 부합한다고 말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 전경.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 전경.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지난해 4분기인 10~12월도 영혼까지 끌어모아 주택을 구입하는 ‘영끌’이 이어지면서 지난해 말 주택담보대출을 포함한 전체 가계 빚(부채)이 역대 최대 기록을 세웠다. 가계대출 중 신용대출은 줄었지만 주담대는 늘었다.

다만 3분기보다는 주택 거래가 줄고, 은행권과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관리를 하면서 가계 빚 증가 속도는 줄었다.

한국은행이 18일 발표한 ‘2024년 4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가계 신용 잔액은 1927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3분기 말(1914조3000억원)보다는 13조 많고,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를 공포한 이래 가장 큰 규모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부채를 말한다.

우리나라의 가계신용은 통화 긴축에서도 2023년 2분기(+8조2000억원)·3분기(+17조1000억원)·4분기(+7조원) 계속 늘었다. 그러던 중 지난해 1분기에서야 3조1000억원 줄었지만, 다시 세 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그렇지만 4분기 증가 폭(+13조원)은 3분기(+18조5000억원)보다는 줄었다.

가계신용. [사진 출처 = 한은 제공]
가계신용. [사진 출처 = 한은 제공]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잔액 1123조9000억원)은 11조7000억원 증가했다. 반면 신용대출 등의 기타 대출(잔액 683조1000억원)은 1조2000억원 줄면서 13분기 연속 감소했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앞서 지난해 3분기 중 가계신용이 크게 늘었지만 주택 거래는 지난 7월을 정점으로 줄어들었다”며 “9월은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시행과 은행권의 가계대출 관리 등이 이어지면서 4분기는 가계대출 증가세가 안정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연간으로 보면 가계신용은 2.2%, 41조8000억원 증가했다. 2021년 7.7%, 133조4000억원 이후 최대 증가율과 증가 폭이다.

이에 대해 김 팀장은 “지난해 1분기부터 3분기까지 명목 국내총생산(GDP)이 6% 이상 성장했다 보니 지난해 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은 3년 연속 하락이 확실시된다”며 “가계부채 비율의 점진적 하향 안정화라는 정부와 한은의 목표에 부합하는 흐름”이라고 설명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