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또 1470원대라니”...트럼프발 관세 전쟁 폭탄 맞은 원화값

이희조 기자
입력 : 
2025-02-03 10:24:41
수정 : 
2025-02-03 10:34:1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의 관세 부과 발표로 달러 가치가 급등하면서 원화 가치가 급락했다.

3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화는 달러당 1466.0원에서 시작해 1470원 이하로 떨어지며 3주 만에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국민연금의 환 헤지와 수출업체의 달러 매도로 인해 원화 가치의 하단이 지지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달러 안전자산 인식 강화에
3주 만에 장중 1470원대로
3일 서울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모습. [사진 = 연합뉴스]
3일 서울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모습. [사진 = 연합뉴스]

미국발(發) ‘관세 쇼크’에 달러 가치가 치솟으면서 상대적으로 원화 가치가 급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 관세를 전면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국가 간 관세 경쟁이 심해질 것이란 심리가 커졌고, 이에 금융시장이 출렁이고 있는 것이다.

3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달러당 원화값은 전 거래일보다 13.3원 내린 1466.0원에서 출발한 뒤 오전 9시50분 1471.0원을 기록하며 1470원 선을 뚫고 내려갔다. 원화값이 장중 1470원 아래로 떨어진 것은 지난달 13일(장중 최저가 1474.3원) 이후 3주 만에 처음이다.

원화값이 급격히 하락한 가장 큰 이유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공식화로 인한 달러 강세다. 관세 상대국들은 즉시 보복을 선언하고 나섰지만 달러는 계속해서 위용을 떨치고 있다. 달러가 ‘안전자산’이라는 심리가 확대되면서 그 가치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것이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현재 108원을 웃도는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고공행진하는 달러와 달리 관세 상대국 중 하나인 중국의 위안화는 하락세다. 최근 일본은행(BOJ)의 ‘완화적 금융환경 유지’ 방침에 엔화도 약세다. 달러 강세에 아시아 통화 약세가 맞물리면서 원화 가치도 크게 떨어지는 모습이다.

다만 국민연금의 전략적 환 헤지 물량과 당국 개입에 대한 경계감, 수출업체의 달러 매도로 원화값의 하단은 지지될 것이란 시각이 많다. 원화값이 아무리 떨어져도 단기적으로 1480원대를 건드릴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