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3개월 이상 카드값 못낸 고령층, 2년새 16% 증가

이소연 기자
입력 : 
2025-01-13 18:16:4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50대 이상 고령층의 신용카드 대금 연체가 증가하고 있으며, 60세 이상의 신용유의자가 2022년 12월 말 10만5634명에서 지난해 11월에는 12만2673명으로 16.1% 증가했다.

이는 노령층의 소득 불안정과 대출 어려움으로 인해 카드론을 이용하게 되면서 발생한 현상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노령층을 위한 맞춤형 정책과 부동산 활용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이강일 민주당 의원 ‘연령별 카드 연체 현황’ 분석
2022년 12월말 대비 작년 11월 전체 신용불량자 5% 증가
20·30대 연체자 줄었지만 50대 9%, 60대 이상 16% 늘어

챗GPT가 그린 카드 빚으로 고민하는 노인의 모습. <챗GPT>
챗GPT가 그린 카드 빚으로 고민하는 노인의 모습. <챗GPT>

카드값을 내지 못하는 50대 이상 고령층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13일 금융감독원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강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청주 상당)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약 2년 새 3개월 이상 신용카드 대금을 연체한 신용유의자가 5.1% 증가했다. 2022년 12월 말 신용유의자는 53만8346명인데, 지난해 11월 말에는 56만5976명으로 늘었다.

신용유의자란 한국신용정보원에 등록된 이른바 ‘신용불량자’를 말한다. 신용카드 사용 정지 등 금융 생활에서 불이익을 받는다.

전체 신용유의자 증가세와 비교하면 50대와 60대 이상에서 늘어나는 폭이 크다. 60세 이상 신용유의자 수는 2022년 12월 말 10만5634명에서 지난해 11월말 기준 16.1%(12만2673명)가 늘었다. 같은 기간 50대는 9.4%, 40대는 3.0%가 각각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20대(-7.5%)와 30대(-0.7%)는 줄었다.

이런 배경에 대해 금융전문가는 “노령층은 일자리를 잃거나 조기 은퇴로 소득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저축은행, 캐피탈 등에서 대출이 어려워지자 카드론을 많이 받게 됐고, 자연스레 연체 규모도 늘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일각에선 현금 등 유동성 자산이 부족한 노령층을 위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아파트 등 부동산 등을 활용해 노후생활비를 마련할 수 있는 제도 개선 등이 대안으로 제기된다. 지난해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60세 이상의 평균 자산(5억8251만원) 중 거주 중인 주택을 포함한 부동산 실물자산(4억5241만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77.6%였다.

서정호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60세 이상 소비자가 보유 부동산을 소득화할 수 있도록 세제 혜택 등 유인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