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주담대 급증한 탓
주택 매입 때문에 대출이 늘면서 가계의 여윳돈 증가세가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부 여윳돈은 지출 감소로 늘어났다.
한국은행은 지난 해 3분기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금운용 규모가 37조7000억원으로 전분기 보다 3조5000억원 감소했다고 7일 밝혔다. 순자금운용은 해당 기간 자금 운용액에서 자금 조달액을 뺀 값이다. 따라서 순자금운용은 여윳돈의 증가분을 뜻한다. 이 액수가 감소했다고 해서 여윳돈이 줄어든 것은 아니다. 여윳돈은 증가했지만 그 증가폭이 축소됐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가계는 정부·기업과 달리 순자금운용액이 양(+)의 상태를 줄곧 유지하는 게 일반적이다. 여윳돈을 예금이나 투자 등을 통해 정부와 기업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김성준 한은 자금순환팀장은 “가계 소득은 늘었지만, 주택 취득이 늘어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한국부동산원 통계에서 개인의 아파트 순취득 규모는 2분기 5만3000호에서 3분기 7만2000호로 증가했다. 또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도 2분기 17만1000호에서 3분기 18만호로 늘었다. 이 과정에서 가계의 금융기관차입은 2분기 14조5000억원에서 3분기 19조9000억원으로 크게 는 게 3분기 가계 순자금운용 규모 감소로 이어진 것이다.
정부(일반정부)는 2분기 순자금조달(-1조1000억원)에서 3분기 순자금운용(+18조7000억원) 상태로 돌아섰다. 정부 지출이 작년 상반기 집중되면서 하반기 들어선 지출이 줄어든데 따른 것이다. 앞서 정부는 1분기에만 50조5000억원의 순자금조달을 기록했다.
3분기 정부의 순자금운용액은 전년 동기 보다 12조1000억원 증가한 규모다. 재정증권과 한은 차입금을 상환한 결과다.
김 팀장은 “정부 지출이 재정 조기 집행 등의 영향으로 상반기에 집중됐다가 3분기 줄었다”며 “세입보다 지출 감소 폭이 더 커 순자금운용으로 전환됐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