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경제·금융 수장들 “외환시장 안정화…비경제적 요인 충격은 일시적”

최종일 기자
입력 : 
2024-12-06 09:01:06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제·금융 수장들은 긴급 거시경제·금융 현안 간담회에서 현재 금융·외환시장이 안정되고 있으며, 비경제적 요인의 충격은 일시적이라는 데 의견을 모음

과거 사례를 볼 때 비경제적 요인의 충격은 중장기적으로 경제적 영향이 미미했으며, S&P도 비슷한 입장임을 전함

중장기 구조개혁 정책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며, 특히 코스피 밸류업 공시 기업들의 시가총액이 전체의 38.2%에 이르는 등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음을 언급함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경제·금융수장들이 금융·외환시장이 안정을 찾아가고 있고 최근 정치 상황 등 비경제적 요인의 충격은 일시적이었다고 의견을 모았다.

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최상목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 원장은 이날 오전 7시 ‘긴급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를 가졌다.

이들은 무제한 유동성 공급 등의 조치로 시장이 전반적으로 안정세라고 봤다. 헌법과 시장경제 시스템이 잘 작동한 결과로 해석했다. 또 과거 사례를 보면 비경제적 요인의 충격은 중장기적으로 경제적 영향이 거의 없었다는 데 뜻을 모았다.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푸어스(S&P)도 ‘비상계엄이 몇시간 만에 해제됐고, 한국의 제도적 기반이 탄탄한 만큼 한국의 신용 등급을 바꿀 필요가 없다’고 판단해 유사한 입장이라고 전했다.

이들은 정치 상황과 관계없이 그간 정부가 추진해온 산업경쟁력 강화, 외환·자본시장 선진화 등 중장기 구조개혁 정책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최근 코스피 밸류업 공시기업들의 시가총액이 전체의 38.2%에 이르는 등 밸류업 참여가 점차 확산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밖에 자본시장법 개정을 포함한 기업지배구조 개선, 5000억원 규모의 밸류업 펀드 조성 및 집행, 밸류업 세제 지원 등을 통한 주주가치 제고 등의 자본시장 선진화 노력을 일관되게 추진하기로 했다.

또 내년 예산안과 세법 개정안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최대한 빨리 해소될 수 있게 노력하기로 했다.

아울러 대내외 불확실성이 여전히 있는 만큼 높은 경계감을 갖고 24시간 대응체계 유지에 만전을 다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전날부터 금융·외환시장과 실물경제 관련 부처 및 기관까지 모두 참여하는 ‘경제금융상황 점검’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고 있다. 소비·투자·수출·고용·물가 등 경기·민생 전반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계속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