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천장 없는 비트코인, 마통도 뚫었다 같이 가즈아”…몰아치는 코인광풍에 ‘위험 경고’

류영상 기자
입력 : 
2024-11-20 10:50:1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 대선 이후 '트럼프 트레이드' 효과로 개인자금이 대규모로 이동하고 있으며, 이 중 일부는 코인 투자에 사용되고 있다.

5대 은행의 요구불예금 잔액이 587조6455억원으로 감소했고, 적금 잔액은 7871억원 줄어든 반면, 마이너스 통장 잔액은 7523억원 증가했다.

일각에서는 현재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값이 단기간에 과도하게 상승했으며, 이로 인한 투자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임. 서울 강남 빗썸라운지의 모습.[사진 = 연합뉴스]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임. 서울 강남 빗썸라운지의 모습.[사진 = 연합뉴스]

미국 대선 이후 ‘트럼프 트레이드’ 효과로 개인자금이 크게 움직이고 있다. 은행 예·적금에서 자금이 빠지고, 심지어 마이너스통장(마통)을 만들어 코인 투자에 나서는 사례도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다.

19일(현지시간) 미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미 동부 시간 이날 오후 1시 35분(서부 시간 오전 10시 35분)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전날보다 2.07% 오른 9만3725달러(약 1억3062만원)에 거래됐다.

이에 따라 지난 13일 기록했던 사상 최고가 9만3400달러대를 6일 만에 뛰어 넘으며 사상 처음 9만4000달러선에 육박한다. 미 대선일이었던 지난 5일 오전 7만달러선 아래에서 거래되던 상승폭도 35%정도 급등했다.

이 같은 코인 열풍은 미국뿐 아니라 우리나라도 비슷한 분위기다.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14일 기준 요구불예금 잔액은 총 587조6455억원으로, 지난달 31일(597조7643억원)보다 10조988억원(1.7%) 줄었다.

요구불예금은 정기예·적금에 비해 금리가 낮지만 언제든 인출해 쓸 수 있어 ‘투자 대기성 자금’으로 불리는데, 불과 10영업일 사이 10조원이 빠져나갔다는 것은 그만큼 투자 수요가 급증한 것으로 풀이된다.

투자를 위해 은행 예·적금을 깨거나 빚을 내는 모습도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지난달 말 5대 은행의 적금 잔액은 총 38조9176억원에서 지난 14일 38조9176억원으로 7871억원(2%) 줄었고, 마이너스 통장 잔액은 같은 기간 38조8657억원에서 39조6179억원으로 7523억원(1.9%) 늘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마이너스 통장은 일반 신용대출과 달리 코인과 증시 변동성이 커질 때 투자 목적으로 급증하곤 한다”고 설명했다.

[사진 = 로이터 연합뉴스]
[사진 = 로이터 연합뉴스]

하지만 일각에서는 최근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값이 단기간에 너무 많이 올랐다며 경고하는 목소리도 높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의 사비타 수브라마니안 전략가는 최근 고객에게 보낸 메모에서 “현재 투자 심리와 매수세는 위험할 정도로 강하다”고 우려했다.

19일(현지시간) 미 경제 매체 CNBC도 “비트코인이 불확실성에 대한 ‘몰수될 수 없는’(non-confiscatable) 장기 헤지(위험분산) 수단, 즉 ‘디지털 금’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장기적인 역사가 없고 극심한 변동성 등으로 단기 트레이더에게 유리한 위험 자산”이라며 “더욱이 (현 시점에 개미들이 뛰어 들기에는) 계속해서 매력적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