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맹견 허가제 계도기간 운영 “내년 10월까지 허가받아야”

이지안 기자
입력 : 
2024-10-25 13:49:0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와 함께 맹견사육허가제에 대해 내년 10월까지 1년간 계도기간을 운영한다.

맹견사육허가제는 동물보호법 개정에 따라 올해 4월 27일부터 맹견을 사육하고 있거나 사육하려는 사람에 대해 시·도지사의 허가를 받도록 한 제도이다.

당초 맹견을 사육하고 있는 사람은 법 시행일 기준 6개월 이내(2024.10.26.)까지 맹견사육허가를 받아야 했으나 맹견 소유자의 부담감, 지자체 현장 여건 등을 고려하여 계도기간을 운영하기로 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맹견사육허가제 1년간 계도 기간 운영
맹견 소유주는 계도기간 내 반드시 허가받아야
허가제와 별도로 맹견 관련 준수사항 단속 예정
“맹견 입마개·목줄 착용 등 지켜야”
맹견이 목줄과 입마개를 착용한 모습. [자료=연합뉴스]
맹견이 목줄과 입마개를 착용한 모습. [자료=연합뉴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와 함께 맹견사육허가제에 대해 내년 10월까지 1년간 계도기간을 운영한다.

맹견사육허가제는 동물보호법 개정에 따라 올해 4월 27일부터 맹견을 사육하고 있거나 사육하려는 사람에 대해 시·도지사의 허가를 받도록 한 제도이다.

당초 맹견을 사육하고 있는 사람은 법 시행일 기준 6개월 이내(2024.10.26.)까지 맹견사육허가를 받아야 했으나 맹견 소유자의 부담감, 지자체 현장 여건 등을 고려하여 계도기간을 운영하기로 했다.

맹견을 사육하고 있는 사람은 모두 계도기간 내 맹견사육허가를 받아야 한다. 농식품부와 17개 광역지자체는 모든 맹견 소유자가 신속히 허가를 받을 수 있도록 설명회와 1:1 상담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농식품부는 맹견 소유자는 맹견사육허가와 별도로 책임보험 가입, 입마개·목줄 착용 등 맹견 안전관리를 위한 준수사항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와 광역지자체는 맹견 관련 준수 여부를 집중적으로 점검 및 단속할 예정이다.

박정훈 농식품부 동물복지환경정책관은 “맹견사육허가제는 맹견을 반려견으로 키우시는 분들이 반려견의 특성을 더욱 잘 이해하고, 사람과 동물이 모두 안전하고 행복하게 공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도”라며 “지자체와 맹견 보호자 여러분께서도 적극적으로 협조해 주시길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