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금융약자 위한 후불결제 연체율 급등에 발목잡혀

양세호 기자
입력 : 
2024-07-21 17:09:02
수정 : 
2024-07-21 19:19:20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금융취약계층을 위한 포용금융 차원에서 도입된 소액후불결제(BNPL) 시장이 쪼그라들고 있다.

연체율 관리가 어렵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인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금융권 내 연체정보 공유를 요청하는 업계와 BNPL을 '대출성 상품'으로 추가해 규제 강도를 높이려는 당국 사이에 엇박자가 나고 있는 상황이다.

21일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자료에 따르면 BNPL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비바리퍼블리카(토스)의 지난해 말 총 채권 잔액은 282억6000만원으로 전년 말(406억7400만원) 대비 30.5% 줄어들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1년새 잔액 30% 줄어들어
금융권 연체정보 공유 안돼
후불결제 연체 관리도 난항
금융취약계층을 위한 포용금융 차원에서 도입된 소액후불결제(BNPL) 시장이 쪼그라들고 있다. 연체율 관리가 어렵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인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금융권 내 연체정보 공유를 요청하는 업계와 BNPL을 '대출성 상품'으로 추가해 규제 강도를 높이려는 당국 사이에 엇박자가 나고 있는 상황이다.

21일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자료에 따르면 BNPL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비바리퍼블리카(토스)의 지난해 말 총 채권 잔액은 282억6000만원으로 전년 말(406억7400만원) 대비 30.5% 줄어들었다. 올 3월 말엔 채권 잔액이 250억2000만원까지 줄어들었다. BNPL은 신용카드와 원리가 같지만 신용평점 등 심사 기준이 낮아 신파일러(금융이력 부족자)나 중·저신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다. 그럼에도 국내 BNPL 시장 규모가 줄어든 것은 연체율 관리의 어려움 때문이다. BNPL 시장의 연체율은 2022년 말 3.06%를 기록한 뒤 2023년 6월 말엔 5.84%까지 오르며 6개월 새 2.78%포인트나 높아졌다. 연체율이 너무 급하게 오르다 보니 일부 업체가 연체채권 상각에 들어가며 지난 3월 말 연체율은 일단 1.03%까지 낮아졌다.

BNPL 운영 업체들은 연체정보 등을 다른 금융업권과도 공유할 수 있도록 법을 개정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제대로 된 연체정보 없이는 연체율 관리가 어렵다는 것이다.

그러나 금융당국은 연체정보를 금융권과 공유할 시 취약차주가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제도가 시행될 때부터 포용적 금융을 위해 혁신금융서비스로 인정받았기 때문에 이 부분을 감안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지난 11일 금융소비자보호법 개정령 입법예고를 통해 BNPL 상품도 대출성 상품으로 추가하고 설명 의무 등을 부가하겠다고 밝혔다.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자는 취지지만, 시장은 더 줄어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한국핀테크산업협회 관계자는 "이젠 소수 혁신금융 사업자들뿐만 아니라 정식 제도화돼 다양한 사업자가 들어올 수 있게 됐다"며 "포용금융을 실현하되 블랙컨슈머는 차단할 수 있도록 연체정보를 적절히 공유하는 방안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양세호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