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외칼럼

[매경춘추] 의대광풍 이대로 좋은가

입력 : 
2025-03-11 17:15:28
수정 : 
2025-03-11 20:35:2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의대 진학 열풍이 심각해지면서 최상위권 대학의 이공계 학생들이 대거 의대로 이동하고 있으며, 이는 의료계와 사회 전반에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반면 세계 주요국은 과학기술 인재 양성에 주력하고 있으며, 한국은 첨단 분야에서 우수 인재 양성이 부족해 경쟁력 저하가 우려된다.

정부는 컨트롤타워를 마련하고 혁신적인 교육 지원 방안을 통해 첨단 과학기술 인재 육성을 국가의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사진설명
의대 광풍이 도를 넘고 있다.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이 1500여 명 증가했는데 의료계는 난리가 났고, 최상위권 대학은 이공계 합격자들이 대거 의대로 이탈하며 2~3차 추가 충원을 해야 했다. 더구나 의대·치대·한의대·수의대·약대 정원은 연 8400여 명으로, 최상위권 인재들이 의학계열 학과로 비정상적으로 몰리고 있으며, 우리나라가 유독 심각한 수준이다. 이런 이유는 소득의 차이(이공계 졸업생 연봉 3000만~7000만원, 의사 1억~1억5000만원)와 직업 안정성, 과열된 학부모의 기대와 함께 학교와 언론이 '의·치·한·수·약학 입시 결과'를 자랑하며 이를 부추기는 데서 기인한다.

그러나 세계 주요국은 의사보다는 과학기술 인재 육성에 더 집중하고 있다. 미국은 MIT, 스탠퍼드대 공대 등을 중심으로 실리콘밸리와 협력하며 인공지능(AI), 양자기술, 반도체, 우주항공, 생명과학 등 미래기술을 이끌고 있다. 미국 의대도 인기가 높지만, 학비와 긴 교육기간이라는 진입장벽으로 상당수 학생이 공대를 선택한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2015년부터 '중국 제조 2025'와 같은 이니셔티브를 통해 과학기술 혁신을 촉진하고, 칭화대·베이징대 같은 유명 대학을 중심으로 과학기술 분야 우수 인재를 집중 양성하고 있다. 레이더·위성GPS·무인항공기 및 드론·합성생물학 등 세계 최첨단 기술을 보유한 중국은 최근 딥시크 오픈소스를 공개해 글로벌 AI 생태계에 파란을 일으키고 있는데, 세계 AI 고급 인재의 47%가 중국 출신이다. 인도의 경우 1000등 이내 최상위권 학생들은 치열한 입학 경쟁을 거쳐 IIT에 입학하고 최고의 IT 인재로 성장한다. 이미 인도의 IT 인재는 미국의 실리콘밸리 등지에 있는 글로벌 기업, 연구기관에서 활동하며 세계를 호령하고 있다. 반면 일본은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전공자 비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최하위권으로, AI 및 4차 산업혁명 기술 분야 글로벌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 일본이 디지털 전환(DX)과 AI 혁신에서 뒤처지는 원인도 여기에 있다.

우리나라는 AI·로봇·양자기술·바이오·우주항공 등 최첨단 분야에서 우수 인재가 세계 1%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전락했는데, AI 고급 인재도 세계 2% 수준에 불과하다. 이런 격차를 해소하지 않으면 미래산업 경쟁력에서 낙후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첨단 과학기술 인재 육성을 최우선 국가전략으로 삼아야 한다. 우선 정권과 관계없는, 정년이 보장된 컨트롤타워에 세계적 인사를 임명해야 한다. 둘째, 서울대 공대, 카이스트 등의 최첨단 학과에는 전면 국비장학금과 정원 자율 조정 등 획기적 조치가 필요하다. 셋째, 첨단산업 연구자가 의사보다 높은 대우와 존경을 받을 수 있다는 국민의 인식 개선 등도 필요하다. 실제로 세계 유수 IT 기업의 연구자는 연 4억원, 최고경영자(CEO)는 연 100억원을 번다고 한다. 첨단기술은 누가 먼저 선점하느냐에 미래가 달려 있다. 창문을 열면 모기는 들어온다. 그러나 열지 않으면 신선한 공기를 마실 수 없다.

[박성중 한국생산성본부 회장]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