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외칼럼

[매경춘추] 선동가, 대중주의자, 정치가

입력 : 
2025-01-10 17:42:03
수정 : 
2025-01-10 17:42:4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올해 상반기 중 계엄과 탄핵 정국이 이어지면서 3년 만에 대통령 선거를 치를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 정치의 현재 상태는 여전히 초기적 민주주의 성숙도에 머물러 있으며, 선동가와 포퓰리스트가 주도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따라서 오는 대선에서는 확고한 미래 비전과 실행 계획을 가진 진정한 정치인을 선택해야 한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사진설명
계엄과 탄핵 정국이 이어지면서 올해 상반기 중 3년 만에 다시 대통령 선거를 치러야 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계엄 정국 이후 외신을 살펴보면 '모범적인 민주주의와 기술·문화 선진국으로 인식되던 코리아'에서 하룻밤 사이에 일어난 사태에 대해 경악을 금치 못하는 기사와 아울러, 우리 국민들의 질서 있는 대응과 수습 과정에 대해 찬사를 보내는 기사도 볼 수 있었다. 이번 일을 겪으면서 지난 60여 년간 우리나라는 모든 분야에서 괄목할 발전을 이뤄 왔는데, 유독 정치 분야만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게 아닌지 걱정하게 된다.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우리나라 정치사를 살펴보면 10여 년간의 대의민주제 도입기를 거쳐 30년에 가까운 군사독재 시기, 그리고 그 이후 30여 년간 제왕적 대통령과 적대적 당파주의 시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1215년 영국의 대헌장으로 태동된 민주주의의 씨앗이 왕정을 무력화하고 서구의 보편적 정치 체제로 자리 잡기까지 700여 년이 걸렸다. 제2차 세계대전 후 민주주의를 채택한 나라 중 상당수는 80년이 지난 현재까지 왕조시대적 사고 체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민주적 시스템이 자리 잡지 못해 정치적 불안정 상태에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번 사태를 겪으면서 우리나라도 아직 그런 상태에 머물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왕조시대에서 대의민주제로의 전환기 서양 정치사를 돌아보면 왕조 축출기에는 대체로 투쟁의 선봉에 선 선동가가 주도적 역할을 했고, 대의민주제가 자리를 잡아 가는 시기에는 대중 영합적인 포퓰리스트가 득세하다가 민주주의 성숙기에는 토론과 타협을 중시하는 합리적인 정치가가 주도권을 잡는 과정을 거쳐 왔다. 독일 사회학자 막스 베버에 따르면 선동가는 자기 논리와 주장을 확고히 하고 반대파들을 적과 악으로 간주하며 잔혹하게 몰아내려는 경향을 보이고, 포퓰리스트는 합리적인 논리와 방향 없이 무조건 다수 대중의 의사에 동조해 지지 세력을 확보하려는 경향을 보인다고 한다.

선동가가 활보하는 시기에는 국민과 정치 세력을 양분해 서로 적대시하게 하고 대화와 타협의 문화는 찾아보기 어려워 정치가 투쟁으로 일관되고, 포퓰리스트가 앞장서는 시기에는 국가 미래나 국민 행복은 안중에 없고 정권 획득과 유지에만 혈안이 돼 국가 발전이 후퇴하는 경우가 많다.

이 기준에 비추어 보면 우리 민주주의의 현주소는 여전히 선동가와 포퓰리스트가 다수를 차지하는 초기적 민주주의 성숙도 상태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러한 우리 정치의 후진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이 깨어 있는 방법 외에는 대안이 없어 보인다.

맹자는 '권력자는 백성들을 인(仁)과 의(義)로 다스려야 하고, 백성들은 부당한 권력에 대항해야 한다'고 가르쳤다. 올해 있을지 모를 대선에서는 정권 탈취만을 위해 국민을 편 가르기 하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선동가와 국가 미래와 국민 행복을 위한 청사진과 실행 의지 없이 대중 영합적인 주장만 일삼는 포퓰리스트를 가려내고, 확고한 미래 비전과 실행 계획을 세우고 대화와 타협으로 국가 발전과 국민 행복을 이뤄낼 수 있는 진정한 정치가를 선택해야 할 것이다.

[서종대 주택산업연구원장]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