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탄핵으로 인해 치러지는 대선인 데다 어려운 경제 상황으로 어느 때보다 무거운 사회 분위기 속에서 대선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계엄과 탄핵을 거치면서 정치 진영 간 갈등도 극대화된 상황이어서 더욱 그렇다. 특히 대선 어젠다로 민주당은 '내란 극복'을 앞세우고 있고, 국민의힘은 '반명(반이재명) 빅텐트'를 기치로 내걸고 있어서 강한 충돌이 예상되는 만큼, 서로를 향한 막말과 네거티브가 난무할 것 같아 우려된다.
이번 대선에 투입되는 예산은 50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선거관리 비용 약 2900억원에, 각 정당에 지급하는 선거보조금만 약 524억원에 달한다. 막대한 국민 혈세가 투입되는 것이다. 가뜩이나 세수 부족으로 재정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예상치 못한 지출로 정부에도 부담인 상황이다.
엄청난 비용과 인력을 투입해 나라를 이끌 새 얼굴을 뽑는 선거지만 조기 대선으로 인해 유권자로선 '누가 국민을 위한 유능한 일꾼인지'를 판단해볼 시간이 사실 과거 대선들과 비교한다면 턱없이 부족하다.
남은 21일은 대선 후보 간의 정책 대결과 이들이 대한민국을 이끌어갈 비전을 제대로 알리기에도 빠듯한 시간이다. 하지만 이 기간마저도 상대 후보를 향한 네거티브 공세와 비방이 난무한다면 유권자들에게 실망만 안겨줄 것이다. 선거 전략상 네거티브는 유권자들이 후보자들에 대해 알지 못했던 부분을 검증하는 효과도 있지만, 21일이라는 짧은 기간을 감안한다면 후보자 의혹에 대한 폭로만 난무하다 검증할 시간도 없이 선거가 끝날 수도 있다. 앞으로 6월 3일 투표 전까지 주요 후보들 간의 경제, 사회, 정치 분야를 각각 주제로 세 차례 TV 토론이 예정돼 있다. 전 국민이 관심을 갖고 지켜보는 만큼, 토론회는 서로를 향한 비판만 하는 자리가 되지 않기를 바란다.
뻔한 이야기 같지만 그래도 이번 대선만큼은 투표장에서 '누가 싫어서 누구를 찍는다'는 사람보다는 '누가 나라를 잘 이끌 것 같아서 투표를 한다'는 유권자가 많아지기를 기대해 본다.
[서동철 정치부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