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매경칼럼

[필동정담] 청와대의 운명

심윤희 기자
입력 : 
2025-04-08 17:11:56
수정 : 
2025-04-08 17:12:3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청와대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임기 시작과 함께 개방되었다는 주목할 만한 사실과 함께, 개방 첫날에 2만6000명이 방문한 것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이후 공간 활용 문제와 관람객 수 감소가 있었고, 최근 윤 전 대통령 파면 후 관람객 수가 급증하며 청와대로의 대통령 복귀 논의가 다시 활발해졌다.

청와대의 미래는 정치적 변화 속에서 '권력의 상징'으로 복귀할지 아니면 계속해서 국민의 관광 공간으로 남을지가 불확실한 상황에 놓여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베일에 싸여 있던 청와대가 전면 개방된 것은 윤석열 전 대통령 임기가 시작되던 2022년 5월 10일이었다. 청와대를 국민의 품에 돌려주겠다는 공약 이행 차원이었다. 대통령의 공간을 들여다보고 싶어하는 국민은 예상보다 많았다. 개방 첫날에만 2만6000명이 청와대를 찾았고, 올해 3월 기준 누적 관람객은 700만명을 넘어섰다.

개방 이후 활용법을 놓고 논란도 적지 않았다. 문화재청이 패션 잡지 화보 촬영을 허가했다가 "영리 목적으로 쓰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지적을 받고 사과하기도 했다. 프랑스 베르사유궁처럼 미술관으로 쓰자는 의견이 제시됐으나 그것도 흐지부지됐다.

공간을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한 적절한 방안을 찾지 못하면서 방문객도 주춤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런데 윤 전 대통령 파면 후 관람객이 부쩍 늘었다. 지난 주말(5~6일)에만 1만5000명이 다녀갔다. 6월 조기 대선 후 대통령 집무실을 어디로 할지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어서다. 짧은 선거 기간이라는 제약상 용산 대통령실을 사용하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현실론과 함께 청와대 복귀, 세종 이전, 광화문 집무실 등 다양한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대통령이 청와대로 돌아올 경우 '마지막 관람'이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방문객이 몰리고 있는 것이다.

청와대는 70년 넘게 대한민국 권력의 심장이 뛰던 자리이자, 현대사의 굵직한 결단이 이뤄졌던 곳이다. 1948년 이승만 전 대통령이 구 조선총독부 관저를 이양받아 집무실로 이용하기 시작해 윤 전 대통령이 용산 이전 결정을 내리기까지 역대 대통령들이 머물렀다. 높은 담장에 둘러싸인 채 국민 삶과 단절됐다고 해서 '구중궁궐'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상징성과 역사성 면에서 재이전 주장이 힘을 얻고 있지만, 3년 가까이 개방된 탓에 보안·경호 문제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정치적 격변 속에서 청와대는 다시 '권력의 상징'으로 회귀할까 아니면 국민의 관광 공간으로 남을까. 청와대의 운명이 다시 역사의 갈림길에 서 있다.

[심윤희 논설위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