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권을 위기로 이끈 견인차는 뭐니 뭐니 해도 김건희 여사의 끊이지 않는 구설과 국정 개입 의혹이겠지만 1년 넘게 끌고 있는 의료사태도 한몫했다. 2006년 이후 3058명에 묶인 의대 정원을 2000명 늘리는 개혁안이 지난해 2월 발표되자 전공의는 파업, 의대생은 집단 휴학에 들어갔다. 그 상태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의사들은 '반정부'로 똘똘 뭉쳤고 초기에는 개혁에 호응하던 여론도 사태가 길어질 조짐을 보이자 싸늘하게 돌아섰다. 이것이 여당 총선 참패에 일조했다는 분석이 있다. 12·3 계엄포고령에는 '미복귀 전공의 처단' 문구가 들어갔는데 혹자는 계엄에 이른 대통령의 심리적 동인 중 하나로 의료사태를 거론하기도 한다. 그만큼 전공의 수렁에서 벗어날 방법이 안 보였다는 주장이다.
탄핵정국으로 개혁 동력이 사라지면서 정부가 '이길 수 없는 전쟁'에서 어떻게 빠져나올지가 관심사다. 흡사 베트남 철수를 앞둔 미군 같은 처지다. 이 와중에 이주호 교육부총리가 2026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이전인 3058명으로 돌리는 방안을 의료계에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료 개혁 찬반을 떠나 허탈한 얘기다. 고작 2025년 한 해 의대생 1500명 더 뽑자고 그 난리를 친 꼴이 됐다. 의료 공백 여파로 수천 명 초과 사망자가 나오고, 대통령 권위는 내려앉고, 총선에 지고, 마침내 정권이 무너질 지경에 이르렀으니 싸움 상대를 잘못 고른 대가가 참 혹독하다.
3058은 신성불가침 숫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도전하다 정권이 만신창이가 됐는데 누가 다시 덤빌 것인가. 사태 초기 한 의사가 '정부는 의사를 이기지 못한다'고 호언장담해 물의를 빚었다. 지나고 보니 수학법칙 같은 진리였다. 앞으로 어느 정권도 의사와 싸우지 않을 것이다. 교육부 장관과 복지부 장관은 무능한 접근으로 중요한 개혁을 망치고 결과적으로 의사 기득권을 영구 확립하는 데 이바지했다. 사태 수습은 책임 있는 이들이 책임지는 데서 시작돼야 하지 않을까. 천연덕스럽게 '도로 3058명'을 말할 게 아니라.
[노원명 논설위원]
기사 상세
매경칼럼
[필동정담] 도로 3058명
- 입력 :
- 2025-02-26 17:45:06
- 수정 :
- 2025-02-26 17:47:06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윤석열 정권은 김건희 여사의 국정 개입 의혹과 의료사태로 인해 위기에 처해 있으며,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파업과 집단 휴학에 나선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의대 정원 증원 개혁이 실패하면서 여론이 싸늘해지고 총선 참패에 영향을 미쳤고, 이주호 교육부총리가 기존 정원 유지 방안을 제안한 것은 허탈함을 가중시키고 있다.
결국, 의료계와의 갈등은 정권의 권위를 떨어뜨리고 향후 어떤 정부도 의사와의 싸움을 피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글자크기 설정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1
인기뉴스
2025-10-08 19:29 기준
-
1
캄보디아서 실종된 40대 한국인...결국 혼수상태로 발견, 무슨 일?
2025-10-07 16:24:17
-
2
“한국 축구 수준 너무 떨어진다” 폭언하더니…기내서 음란물 보다 잘린 이 남자
2025-10-08 11:24:50
-
3
“덜어내는 시간이 왔다”…인간관계 정리 중이라는 임하룡, 무슨일이
2025-10-08 08:11:30
-
4
“돼지갈비찜, 잡채”…구치소서 추석 맞는 윤 부부
2025-10-06 06:39:49
-
5
불닭볶음면·바나나우유가 아니라고?…요즘 외국인이 찾는 K푸드 따로 있다는데
2025-10-07 13:48:48
-
6
‘3500 돌파, 불장’에 목표주가 다 올랐는데…왜 이 종목만, 와르르
2025-10-08 09:06:57
-
7
“공중 화장실서 갑자기”…일본 오사카 간 20대 대학생이 한 짓, 中 발칵
2025-10-08 15:41:37
-
8
“제로 음료라고 믿고 마셨는데”…한 캔 마셔도 지방간 위험 크다는데
2025-10-08 06:29:46
-
9
“어르신 배려 전혀 없네” 불만 폭주…일방적 정책 전환에 승객 뿔난 이 항공사
2025-10-07 23:07:17
-
10
꼬치구이 전문점 원조였는데…김진학 ‘투다리’ 창업주 별세
2025-10-08 15:55:18